![]() |
14일 오후 광주 광산구 빛그린산단 광주글로벌모터스(GGM)에서 민주노총 금속노조 GGM지회 조합원들이 부분 파업에 돌입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국내 첫 ‘광주형 일자리’로 알려진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사의 갈등이 지속되면서 지역경제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16일 GGM에 따르면 사측은 전날 사내 게시판에 호소문을 올려 “일부가 회사 설립 근간인 노사 상생발전 협정서를 위배하는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어 “GGM은 노사 상생발전 협정서 체결을 근간으로 어렵게 설립된 상생기업이어서 상생 협약을 지키지 않는다면 회사의 지속성과 고용안정은 보장될 수 없다”며 “이를 지키지 않겠다는 행동은 결국 자신의 일자리를 스스로 위험에 빠뜨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금까지 쌓아온 상생의 공든 탑은 모두 무너지게 돼 결국 고용불안을 가져오고 협력사들이 생산 차질을 빚는 등 광주지역 산업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파업에 참여하는 직원들은 노동법에 따라 무노동 무임금을 적용할 것”이라며 “불법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당사자에게는 민형사상 모든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 |
GGM호소문 |
반면 전국금속노동조합 GGM지회는 이날 낮 12시 20분부터 3개 부서(조립·도장·보전시설부) 조합원 140여명이 4시간 부분 파업을 했다.
지난 14일 조합원 70여명이 부분파업을 시작한 이후 연속 3일째 이어진 부분 파업이다.
노조는 “사측이 합법적인 쟁의행위를 방해해 노조 탄압을 멈추지 않고 있다”며 “1차 부분파업 때보다 참여 조합원 수가 늘어난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윤몽현 대표이사는 전날 조합 대의원에게 다가와 사실상 시비조로 파업 참여를 문제 삼았고, 현장 관리자들은 파업 조합원을 다른 부서로 전환 배치하거나 보직 해임할 수 있다고 위협했다”고 비판했다.
또 “윤 대표가 입사 시 노사 상생발전 협정서 준수 서명을 거론하며 파업한 것을 문제 삼는 것은 노조법상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며 “현장에서 돌발적으로 조합원을 위협하거나 탄압하는 행위가 일어난다면 그에 대항하는 긴급 파업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