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C 항공기 가동률·정비인력 집중감독

국토부, 9개 LCC CEO회의 주재


정부가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한 항공기 가동률·정비인력 확보 및 정비기준 준수 집중감독을 시행하고 신규 항공기 도입 전 검증을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충분한 안전투자를 위한 재무역량 및 전문성을 갖춘 경영진 등 건실한 지배구조를 확보하지 않은 LCC 항공사는 강도 높게 관리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오전 김포공항에서 LCC 항공안전 특별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179명의 희생자를 낳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초래된 항공산업의 위기 상황에서 LCC 대표들과 함께 저비용항공사의 기업구조를 비롯한 안전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논의하고 LCC 안전강화와 신뢰회복을 위한 쇄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열렸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 주재로 열린 회의에는 제주항공·티웨이항공·이스타항공·에어부산·진에어·에어서울·에어인천·에어프레미아·에어로케이 등 9개 LCC CEO가 참석했다.

국토부는 이날 회의에서 세계 항공운송 9위 규모인 우리나라 항공 수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LCC가 수익에만 급급하고 근본적인 안전 개혁을 단행하지 않으면 항공산업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고강도 혁신대책을 주문했다.

국민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토부는 운항정비 인력 산출기준을 개선하고 신규노선 심사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안전수준 미달 항공사는 운항증명 정지 등 강력한 제재를 취하고 법규 위반 항공사 및 안전사고 빈발 항공사에 대한 대국민 정보공개도 확대할 예정이다. 신혜원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