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형태 ‘AR 글라스’도 개발중
22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 위치한 ‘SAP센터’에서 열린 상반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XR(혼합현실) 기기 ‘프로젝트 무한’이 진열돼 있다. [삼성전자 제공] |
삼성전자와 구글이 합작해 만든 혼합현실(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이 연내 시장에 출시된다. 삼성전자와 구글은 안경 형태의 증강현실(AR) 글라스까지 공동 개발한다. ▶관련기사 12면
XR 생태계 확장을 위해 삼성과 구글의 협력이 가시화하면서 빅테크 기업과의 XR 시장 주도권 싸움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김기환 삼성전자 MX사업부 이머시브 솔루션 개발팀장(부사장)은 2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최초로 탑재한 기기인 프로젝트 무한 헤드셋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제품은 ‘갤럭시 언팩 2025’행사에 시제품이 공개돼 관람객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김 부사장은 헤드셋 형태를 첫 기기로 선보이는 이유로 “최첨단 기술로 가장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뛰어난 디스플레이, 센서와 옵틱 기술, 카메라 등을 통해 가장 고도화된 XR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김 부사장은 무엇보다 장시간 착용해도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데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양한 머리 모양을 분석해 디자인을 최적화하고 개선하는 과정을 거쳐, 가벼우면서도 균형 잡힌 하드웨어를 구현해 냈다”고 설명했다.
헤드셋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의 폼펙터(기기)로 영역도 확장한다. 구글과 안경 형태의 ‘AR 글라스’도 개발 중이다. 김 부사장은 “프로젝트 무한은 방대한 갤럭시 에코시스템의 일부”라며 “다양한 기기 간 연결 경험 제고를 위해 XR과 스마트폰 사용의 시너지를 항상 염두에 두고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XR 기기 등장의 기반이 된 것은 삼성과 구글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이다.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은 지난해 12월 삼성전자와 구글이 뉴욕에서 개최한 ‘XR 언락(Unlocked)’ 행사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바 있다.
김 부사장은 이 플랫폼에 대해 “삼성전자와 구글, 양사의 강점과 노하우를 결합한 협업의 결정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삼성전자는 하드웨어 전문성과 모바일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해 온 경험이 있고 구글은 안드로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OS 플랫폼을 만들어온 회사”라며 “양사는 서로의 강점을 모아 안드로이드 XR을 공동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헤드셋 형태의 XR 기기는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대신 이동하면서 사용이 어렵지만, 안경 형태는 시각적인 제한은 있지만 이동성이 뛰어나다”며 “안드로이드 XR은 다양한 폼팩터에 적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드로이드 XR로, 텍스트, 음성, 이미지를 모두 이해하는 멀티모달 인공지능(AI) 기반의 상호작용도 가능할 것으로 그는 전망했다. 그는 “어도비, 네이버, MLB TV 등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너제이(미국)=권제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