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실거래가 신고 의무화 후 처음
서울 강남구 아파트 단지 모습. 임세준 기자 |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지난해 서울 아파트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역대 처음으로 전체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최근 몇 년간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인기지역 아파트를 선호하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영향을 미쳤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를 보면 지난해 거래된 5만6800여건 가운데 실거래가격이 9억원을 초과한 경우는 전체의 53.8%를 차지했다. 서울에서 실거래가 9억원 초과 매매 거래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건 정부가 실거래가 신고를 의무화한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금액대별 거래 비중은 2018년만 해도 전체 계약의 83.4%가 9억원 이하 거래였고 9억원 초과는 16.6%에 불과했다. 당시는 1주택자 양도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못 받는 고가 아파트의 기준이 9억원이었다. 거래 10건 중 6건 이상(60.9%)이 6억원 이하에 팔렸다.
이후 저금리 장기화와 2020년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시행의 부작용으로 전셋값과 아파트값이 동반 상승하면서 2020년 9억원 초과 계약 비중이 31.6%로 증가했다. 2021년에는 44.3%로 늘었다.
2022년에는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38.8%로 줄었으나, 2023년 매매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9억원 초과 거래 비중이 다시 46.5%로 높아졌다. 정부가 2023년에 특례보금자리론, 2024년부터는 신생아 특례대출로 9억원 이하 주택 구입에 저리의 자금을 지원하고 있음에도 9억원 초과 거래가 계속해서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이는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고가주택이 많은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지역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이 크다.
KB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말 8억4천502만원이던 서울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지난해 말 기준 9억8천333만원으로 9억원을 넘었고, 같은 기간 평균 매매가는 8억1천595만원에서 12억7천274만원으로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