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병력 1000명’ 보고에 “그 정도면 국회·선관위 투입하면 되겠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3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 이틀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할 병력 규모를 논의한 정황이 드러났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측이 3일 법무부로부터 받은 101쪽 분량의 윤 대통령 공소장에는 이 같은 정황이 낱낱이 담겼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1일 “지금 만약 비상계엄을 하게 되면 병력 동원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고 물었고, 김 전 장관은 “수도권에 있는 부대들에서 약 2∼3만명 정도 동원돼야 할 것인데, 소수만 출동한다면 특전사와 수방사 3000∼5000명 정도가 가능하다”고 보고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경찰력 우선 배치’와 함께 군은 간부 위주로 투입하는 방법을 얘기하면서, “간부 위주로 투입하면 인원이 얼마나 되냐”고 다시 물었고, 김 전 장관은 수방사 2개 대대 및 특전사 2개 여단 등 약 1000명 미만이라고 보고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은 “그 정도 병력이라면 국회와 선거관리위원회에 투입하면 되겠네”라고 말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이 같은 발언은 앞서 김 전 장관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에 250명가량의 소수 병력만 투입하라고 지시했다고 증언한 것과 배치된다.

한편 공소장에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의원들이 담을 넘으며 본회의장에 집결하자 윤 대통령이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에게 직접 전화해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라고 지시 내린 정황도 담겼다.

윤 대통령은 당시 국회 주변을 돌며 직접 현장을 지휘하던 이 전 사령관에게 현장 상황을 물었고, 이 전 사령관은 “다 막혀 있다. 그래서 제가 담 넘어 들어가라고 했다. 국회에 도착했는데, 들어갈 수 없다. 사람이 많다”고 답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은 “아직도 못 들어갔어? 본회의장으로 가서 4명이 1명씩 들쳐 업고 나오라고 해”, “아직도 못 갔냐. 뭐 하고 있냐.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끌어내라”고 거듭 지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