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거래 금액이 올 들어 23일까지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3일 기준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거래 금액이 1033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서울 서초구 aT센터 농산물 온라인도매시장에서 열린 농수산물 수급안정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현장 설명회에서 관련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연합] |
농식품부는 “이는 전년 동기 39억원 대비 26배 늘어난 수치”라며 “전년도 1000억원 기록 시점이 6월 17일인 점을 고려할 때 올해 거래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은 지난 2023년 11월 30일 출범한 뒤 지난해에만 거래금액 6737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목표액 5000억원을 훌쩍 넘어선 수준이다. 이와 함께 농가수취가 3.5% 증가, 유통비용률 7.4%포인트 감소 등의 성과를 냈다.
![]() |
2024년 1월과 2025년 1월 온라인도매시장 거래액(누계) 비교(단위:억원) [농림축산식품부] |
온라인도매시장이 급성장한 배경에는 ▷가입 요건 완화·거래 부류 폐지 등 규제 완화 ▷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편의성 제고 ▷이용자들의 온라인도매시장 이용 경험 증가 및 유통비용률 감소 효과 체감 ▷물류비 등 각종 지원사업 등이 있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특히 올해 1월에는 우엉·연근·참조기·마른 멸치 등 신규 품목의 거래가 시작되고, 설 명절 기간 특화상품으로 구성한 사과·감귤·배 등에 운송비(50%) 및 할인(10%) 지원이 이뤄지면서 거래액이 증가한 것으로도 분석됐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12월 대비 거래액이 평균 20.6% 증가했고 일평균 거래액도 전년도 18억원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38억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온라인도매시장 거래액 1조원 달성을 목표로 ▷가공식품·수산물 등 거래품목 지속 확대 ▷규모화된 산지조직의 거래 참여 촉진 ▷대형유통업체·온라인소매상 등 구매자 유형별 맞춤 지원 ▷판매·구매자 정보 분석 및 플랫폼 고도화 등을 통한 거래 매칭 촉진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박순연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온라인도매시장 활성화는 유통구조의 혁신을 위한 필수과제”라면서 “온라인도매시장을 통해 농가 수취가격은 높이고, 유통비용은 낮춰 국민의 장바구니 물가가 안정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