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근 회장 “저출생 해법 마중물”
![]() |
‘자녀 1명당 1억원’이라는 파격적인 출산장려금 지원으로 화제를 일으킨 부영그룹이 올해는 28억원을 직원에게 지급한다.
지금까지 누적 출산장려금 지급액은 98억원에 달한다.
5일 이중근(사진) 부영그룹 회장은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지난해 아이를 낳은 직원들에게 출산장려금 총 28억원을 전달했다. 사내부부 2쌍을 포함해 28개 가정이 대상이다. 이 회장은 지난해 출산장려금 제도를 시행하면서, 3개년을 소급 적용해 2021~2023년 출산한 직원들에게 70억원을 지급했다.
이 회장은 “저출생 문제가 지속되면 20년 후 경제생산인구 수 감소, 국방 인력 절대 부족 등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게 될 것이기에 해결책으로 출산장려금 지급을 결정했다”며 “부영이 마중물이 돼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영은 출산장려금 지급 후 사내 출생아 수가 늘어났다고 전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3명이었던 출생아는 지난해 28명으로 증가했다. 부영 관계자는 “장려금 지급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경감 효과에 힘입은 결과로 저출생 해법의 확실한 대안이 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이 회장은 이날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에 대한 감사와 후대에 이어질 시대정신을 강조하며 ‘유엔데이(유엔의날) 공휴일 지정’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과거 ‘6·25전쟁 1129일’를 비롯해 총 5권의 역사서를 직접 집필할 만큼 역사 분야에 관심을 보여왔다.
유엔데이는 1945년 10월 24일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에서 국제연합(UN)이 창설된 날을 세계적으로 기념하는 날이다. 1950년부터 1975년까지 공휴일이었으나 1976년 북한의 유엔 산하기구 가입에 대한 항의로 공휴일 폐지된 바 있다.
이 회장은 “6·25 전쟁은 60개국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지금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동방예의지국의 면모를 갖춰 유엔군의 희생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시대정신을 후세에 물려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희량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