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원을 잡아라…여도 야도 ‘2030 표심’ 앞으로[이런정치]

尹구속기소 이후 불붙는 조기대선론

대놓고 ‘대선’ 언급 않지만 채비 신경

여야 모두 ‘중도층·부동층 중요’ 공감

특히 ‘2030’ 30대 이하를 핵심 꼽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안대용·김해솔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을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등 혐의로 구속기소된 이후 정치권은 조기 대선 가능성을 더욱 빈번하게 거론하게 거론하고 있다. 드러내놓고 ‘대선’이나 ‘대선 준비’를 언급하진 않지만 올해 상반기 중 대선이 치러질 수 있다고 보고 여야 모두 선거 채비에 신경쓰는 모습이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정당 지지도가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을 보이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모두 ‘결국 대선이 본격화되면 진영 결집이 이뤄지기 때문에 중도·부동층 표심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한다. 특히 조기대선이 현실화 되면 이른바 ‘2030’으로 불리는 30대 이하 젊은층 표심이 핵심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표심 잡기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의 한 관계자는 7일 헤럴드경제에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중도층, 부동층 표심이 중요하다는 건 모두가 알고 있는 점”이라며 “특히 2030 젊은층 표심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고 했다. 국민의힘의 한 의원도 “만일 대선판이 열린다고 하면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세가 결집하게 돼 있다”며 “중도층을 잡는 게 중요하고, 청년들의 표심이 중요해진다”고 했다.

정치권에선 2030 세대 부동층 비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특히 더 높다고 분석한다. 각종 선거에서 사전에 지지 후보나 정당을 섣불리 밝히지 않고서 막판까지 고민하다가 투표하는 비중이 여느 세대보다 높다는 것이다. 지난해 4월 치러진 22대 총선에서도 여야 모두 ‘MZ 표심’을 잡아야 한다며 대학가 소재 지역구에 공을 들이기도 했다.

0002425723_002_20250208000112199
한국갤럽 1월 2주차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 [한국갤럽 제공]

이러한 점은 최근 정당 지지도 여론조사에서도 고스란히 나타난다. 한국갤럽이 실시한 1월 세 차례 조사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줄곧 오차범위 내 접전 수치를 나타냈다. 1월 2주차 국민의힘 34%-민주당 36%, 1월 3주차 국민의힘 39%-민주당 36%, 1월 4주차 국민의힘 38%-민주당 40%로 각각 집계됐다. (각 조사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0002425723_003_20250208000112224
한국갤럽 1월 3주차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 [한국갤럽 제공]

그런데 매 조사마다 모두 ‘무당층’ 비율이 가장 높은 나이대가 18~29세였고, 그 다음이 30대였다. 연령대별 무당층 비율은 1월 2주차 18~29세 35%·30대 30%, 1월 3주차 18~29세 35%·30대 28%, 1월 4주차 18~29세 30%·30대 27%로 각각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응답자 중 무당층 비율은 1월 2주차 19%, 1월 3주차 17%, 1월 4주차 15%였다. 30대 이하에서 지지 정당을 밝히지 않은 비율이 다른 세대보다 높아 그만큼 부동층으로 존재하는 것인데, 그런 상황에서 정당 지지도가 여야 박빙 상황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0002425723_004_20250208000112261
한국갤럽 1월 4주차 정당 지지도 조사 결과 [한국갤럽 제공]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총선 당시 확정된 국내 선거인명부 기준 선거인은 4425만1919명이었다. 이들을 연령별로 보면 18~19세 89만5092명(2.02%), 20대 611만8407명(13.83%), 30대 655만9220명(14.82%)으로, 국내 선거인명부 기준 선거인 중 30대 이하가 1357만2719명(30.7%)를 차지했다. 2022년 치러진 20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후보였던 윤석열 대통령과 민주당 후보였던 이재명 대표의 득표수가 24만7077표, 득표율은 0.73%p 차이였던 점을 감안하면 정치권이 ‘2030 풍향’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때문에 여야 모두 2030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대선용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헌재가 탄핵심판에서 윤 대통령에 대해 ‘파면’ 결정을 하게 되면 윤 대통령이 자격을 상실하기 때문에 헌법에 따라 60일 이내에 대선이 치러지게 되는데, 선거 준비기간 자체가 짧은 만큼 관련 공약 발굴에 당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통화에서 “우리가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은 어떻게 효능감을 줄 수 있느냐에 있다”며 “정말로 필요한 게 뭔지, 막연하게가 아니라 어떻게 미래를 열 수 있도록 해야할지 고민이 필요한 지점”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직후와 비교해 2030 지지세가 확연하게 늘고 있다고 보고 이같은 흐름을 이어가는 데 신경쓰는 모습이다. 최근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심리 중인 헌재를 향해 지속적 공세를 펴는 데도 정무적 판단이 담겨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헌재의 편향성 같은 문제들이 2030 세대로 하여금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게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탄핵심판 당사자인 윤 대통령이 최근 ‘2030’을 집어 언급한 배경에도 이러한 분위기 분석이 녹아 있다는 해석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을 접견한 자리에서 ‘당이 하나가 돼 2030 청년을 비롯해 국민께 희망을 만들어달라’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