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R’ 요청 등 공조 수사도 면밀히 진행 중
지난달 14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현장에서 수습 당국 관계자들이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과 책임자 규명에 나선 경찰이 무안공항과 제주항공 관계자 20여명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마치고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경찰 조사를 마친 참고인 중에는 이번 참사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 설계 관계자 등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7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전남경찰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수사본부는 지난달 말까지 무안공항과 제주항공 관계자들을 비롯해 참사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 설계 및 정비 관계자들까지 총 20여명에 대해 참고인 조사를 마친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항공 참사 여객기는 사고 과정에서 공항 내 시설인 로컬라이저(착륙유도시설, LLZ) 콘크리트 둔덕에 충격해 큰 피해를 낳았다. 특히 이 둔덕은 활주로 끝단에 있었는데, 활주로 종단 안전 구역 내외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돼 피해를 더욱 키웠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만 현재까지 피의자로 입건된 사람들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지난달 2~3일 성명불상자를 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특정해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고, 무안공항 사무실과 제주항공 서울사무소, 부산지방항공청 무안출장소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경찰은 조사에 착수한 지 한 달여 동안 이번 참사의 원인과 책임자 규명을 위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는 로컬라이저 구조물 관련 자료와 충돌 직전 사고 여객기 기장과 관제탑의 교신 내용, 사고 여객기 기체의 정비 이력, 인근 폐쇄회로(CC)TV 영상 등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특히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와 공조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경찰은 사조위가 사고 여객기에서 확보한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까지 별도로 요청하면서 면밀한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참사의 중요 참고인인 제주항공 김 대표에 대해서는 경찰이 오는 27일까지 출국금지 기간을 연장했다. 애초 김 대표는 지난달 30일 출국금지 기간이 만료될 예정이었으나, 경찰이 참고인 조사 계획 등을 이유로 출입국 당국에 출금 연장을 신청했다. 다만 김 대표와 함께 출국금지 됐던 제주항공 임원 1명은 이미 참고인 조사를 마쳐 추가로 출금이 연장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경찰 안팎에서는 이번 참사에 대한 수사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현재 국토부 사조위에서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지만, 결과가 나오는 데까지는 최소 6개월에서 최장 3년이 소요될 수 있어서다.
다만 경찰은 사조위 조사와는 별개로 관련자들에 대한 조사와 압수물 분석 등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사고 원인에 대한 사조위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이라도 입건 수사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찰 관계자는 “사고 원인에 대한 여러 가능성을 확인 및 조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이번 참사와 관련한 악성 댓글 등에 대해서도 엄정 대응하고 있다. 지난 5일을 기준으로 제주항공 참사 관련한 온라인 악성 게시글 총 243건을 수사 중이다. 특히 게시 행위가 특정돼 수사 중인 58명 가운데 20명은 경찰에 검거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