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평균 구매액 월평균 지출 금액은 이마트 SSG닷컴 커
만족도 조사에선 컬리가 우세…’멤버십 혜택 다양성’ 이유
![]() |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온라인 쇼핑몰에서 식료품 구매도 쿠팡 쏠림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시장조사기관 오픈서베이가 내놓은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만 20~59세 성인 남녀 128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55.4%는 온라인 플랫폼 중 쿠팡에서 주로 식료품을 구매한다고 답했다.
이어 컬리(8.6%) 네이버쇼핑(8.4%) 홈플러스몰(5.6%) 이마트몰(5.0%) G마켓(3.1%) SSG닷컴(2.9%) 순이었다.
2023년 조사 당시 쿠팡이 40.1%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쿠팡의 상승세가 돋보인다. 당시 컬리(10.3%) 네이버쇼핑(9.5%) 홈플러스몰(7.1%) 등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2년 새 많은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가 쿠팡으로 이용 플랫폼을 옮긴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3개월간 식료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플랫폼을 물을 경우 소비자의 73.7%는 쿠팡을 주로 이용한다고 답했다. 네이버쇼핑(38.1%)이나 컬리(27.2%), G마켓(19.2%), 홈플러스몰(18.4%) 등을 멀찌감치 앞섰다.
오픈 서베이는 “온라인 장보기가 점점 쿠팡으로 집중되고 있다”며 “온라인 채널 중 압도적인 1위일 뿐 아니라 마트·슈퍼 등 오프라인에서 주로 식료품을 산다는 소비자도 쿠팡은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플랫폼별 월평균 식료품 구매 빈도 역시 쿠팡이 3.72회로 이마트·SSG닷컴(2.84회)이나 네이버쇼핑(2.37회), 컬리(2.66회)보다 많았다. 다만 1회 평균 구매액과 월평균 지출 금액에선 이마트·SSG닷컴이 각각 5만9400원, 16만8696원으로 1위에 올랐다. 쿠팡은 각각 3만5400원, 13만1688원으로 집계됐다.
플랫폼별 200명씩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에선 컬리 이용자의 85.5%가 만족한다고 답하며 1위를 차지했다. 네이버쇼핑이 82.5%로 뒤를 이었다. 쿠팡과 SSG닷컴은 80.5% 동률이었다. 세부적으로 컬리는 멤버십 혜택의 다양성이, 네이버쇼핑은 배송 속도가 각각 가장 큰 장점으로 언급됐다. 쿠팡은 상품 가격을 주된 만족 요인으로 선정됐다. 이마트·SSG닷컴은 전반적으로 장보기가 편리하다는 반응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