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비축기지 현대화로 2030년까지 봄배추 비축 물량 3배 확대

농식품차관 “먹거리 수급·가격 안정에 최선”
현장 간담회…“인력 감소·기후 변화 심화에 대응”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1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한 ‘농축산물 효율적 수급 관리 구축 방안’ 현장 간담회에서 정부의 2025년 주요 업무추진계획을 현장 이해관계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가 원예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해 비축 역량을 확대한다.

비축기지 시설 현대화를 통해 봄배추 비축 물량을 오는 2030년까지 세 배로 확대하고,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를 조성해 사과 등을 재배할 신규 산지를 늘린다. 축산농가에 사료 구매자금을 저리에 지원하는 등 축산물 수급 관리 방안도 마련했다.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11일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축산물 효율적 수급 관리 정착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열고 농촌진흥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협 등 유관 기관 관계자와 농업인 단체장과 만나 “먹거리 수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현장과 지속 소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차관은 “정부는 농축산물의 효율적 수급 관리를 위해 시장 기능을 활성화하고 농업 인력 감소, 기후 변화 심화 등 대내외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올해 농식품부의 업무 계획을 설명했다.

우선 농식품부는 정부 비축 기지 시설 현대화를 통해 봄배추 비축 물량을 오는 2030년까지 세 배로 확대하고 비축 기간 연장을 위한 저장 기술(CA) 실증을 추진한다. 노지채소 스마트 생산 시범단지를 확대하고 여름 배추 연작 장애 개선을 위한 토양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올해 사과 신규 산지를 1000㏊(헥타르·1㏊는 1만㎡) 육성하고,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세 곳(60㏊)을 조성한 뒤 오는 2030년까지 60곳(1200㏊)으로 확대한다.

축산물 수급 관리를 위해서는 축산농가에 1조원 규모의 사료 구매자금을 저리(1.8%)로 지원하고, 한우와 육우 농가에는 자금 상환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 사육 기간을 단축한 한우 농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 한우에는 차별화한 등급 체계 표시 방식을 적용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또 올해 쌀 생산 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벼 재배 면적을 8만㏊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