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간담회…“인력 감소·기후 변화 심화에 대응”
![]() |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11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개최한 ‘농축산물 효율적 수급 관리 구축 방안’ 현장 간담회에서 정부의 2025년 주요 업무추진계획을 현장 이해관계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정부가 원예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해 비축 역량을 확대한다.
비축기지 시설 현대화를 통해 봄배추 비축 물량을 오는 2030년까지 세 배로 확대하고,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를 조성해 사과 등을 재배할 신규 산지를 늘린다. 축산농가에 사료 구매자금을 저리에 지원하는 등 축산물 수급 관리 방안도 마련했다.
박범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11일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축산물 효율적 수급 관리 정착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열고 농촌진흥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협 등 유관 기관 관계자와 농업인 단체장과 만나 “먹거리 수급과 가격 안정을 위해 현장과 지속 소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차관은 “정부는 농축산물의 효율적 수급 관리를 위해 시장 기능을 활성화하고 농업 인력 감소, 기후 변화 심화 등 대내외 여건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올해 농식품부의 업무 계획을 설명했다.
우선 농식품부는 정부 비축 기지 시설 현대화를 통해 봄배추 비축 물량을 오는 2030년까지 세 배로 확대하고 비축 기간 연장을 위한 저장 기술(CA) 실증을 추진한다. 노지채소 스마트 생산 시범단지를 확대하고 여름 배추 연작 장애 개선을 위한 토양 개선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올해 사과 신규 산지를 1000㏊(헥타르·1㏊는 1만㎡) 육성하고, 스마트 과수원 특화단지 세 곳(60㏊)을 조성한 뒤 오는 2030년까지 60곳(1200㏊)으로 확대한다.
축산물 수급 관리를 위해서는 축산농가에 1조원 규모의 사료 구매자금을 저리(1.8%)로 지원하고, 한우와 육우 농가에는 자금 상환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 사육 기간을 단축한 한우 농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이 한우에는 차별화한 등급 체계 표시 방식을 적용한다.
이와 함께 농식품부는 또 올해 쌀 생산 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벼 재배 면적을 8만㏊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