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제1차 동북아 정책 포럼…주요국 대미 통상 대응 동향 점검
![]() |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미국 신정부 대응 업계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14일 트럼프 2기 미국 정부의 경제·통상정책과 관련해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중국·일본과 양자 소통을 지속하는 한편, 다자 체제를 활용한 협력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이날 서울 중구 코리아나 호텔에서 ‘2025 제1차 동북아 정책 포럼’을 열고 중국·일본 지역·경제 전문가들과 함께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라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통상 환경에 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미국과 중국이 추가 관세와 보복 관세를 주고 받고, 미·일 정상회담 이후 일본의 대미 투자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계획이 발표된 가운데 열렸다.
‘관세 전쟁’을 본격 개시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4일 중국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데 이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예외 및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내달 12일부터 부과한다고 10일 발표했다.
정부는 간담회에서 트럼프 2기 경제·통상 정책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했다.
정 본부장은 “중국·일본과의 양자 소통을 지속하겠다”면서 “한미일, 한일중 등 소다자 및 세계무역기구(WTO),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다자 체제를 활용한 협력을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기업의 안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통상 당국의 적극적인 대응을 요청하는 한편, 미국·중국·일본과의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