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조절 자산 급등 부작용 잡아야

중앙은행이 때로는 자산가격 변동에 대응한 통화정책을 수행해야 할 수도 있다고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티모시 가이스너 총재가 11일 밝혔다.

가이스너 총재는 이날 뉴욕 하버드 클럽에서 연설을 통해 “중앙은행은 자산가격 하락이 잠재능력 수준의 성장을 위협할 때와 마찬가지로, 자산가격 상승이 총수요를 큰 폭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보일 때에는 정책을 수정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집값이나 주식가격이 급등해 자산효과로 인한 소비수요가 급팽창할 우려가 있는 때에는 금리인상을 통해 자산가격을 잡아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가이스너 총재는 “단위 노동비용 상승세가 미미한데 힘입어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물가는 매우 절제돼 있는 상태를 보여왔다”며 “견조한 생산성 증가세가 낮은 물가추세의 큰 배경 중 하나이며, 이는 앞으로도 인플레이션이 잘 억제될 것이라는 좋은 징조”라고 언급, 인플레이션에 대한 낙관적인 시각을 보여줬다.

가이스너 총재는 또 “위험 프리미엄이 떨어지고, 이에 장기금리가 낮은 수준이라고 하더라도 이 것이 미래의 안정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장기채권 투자자들의 과도한 낙관론에는 경고 신호를 보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