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마켓이 다시 뜨고 있다


▲ 부동산 시장이 냉각하면서 머니마켓이 살아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기 채권 펀드보다 최근 금리가 더 높고 변동성도 더 낮은 단기 채권 펀드가 수익성이 더 높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제 다시 머니마켓인가. 부동산시장이 다시 약세 국면에 진입했다. 더 많이 오르고 인기있던 지역일 수록 무서운 속도로 냉각되고 낙폭도 더 크다. 사실을 말하자면 과거에도 주식시장의 장기적 수익률이 부동산 수익률보다 높았다. IT버블 붕괴 후 주식시장이 장기간 부진했지만 투자기간을 10년, 20년으로 늘리면 주식 투자에 따른 수익률이 부동산보다 훨씬 높다. 5년 기간으로 따질 때 부동산 투자수익률은 7.6% , S&P 500에 근거한 주식투자 수익률은 2.8% 로 나타난다. 그러나 10년일 때 부동산은 6.3% , 주식은 8.9% 로 수익률 비교에서 역전한다. 20년일 때 부동산은 5.5%에 불과하지만 주식투자 수익률은 11.4% 로 높아지고 있다. 최근 CNN머니가 제안한 ‘부동산을 버리고 머니마켓으로 가라’를 발췌한다.

◇’부동산 팔고 머니마켓 노려라’
그렇다면 투자자들은 주택경기 하락 기조에서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 만약 당신이 살기 좋은 집을 하나 가지고 있고,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감당할만 하고 이사갈 계획이 없고 주식과 채권도 일부 소유하고 있다면, 더 이상 아무 것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거주지 외에 몇몇 투자용 주택을 갖고있고 주식과 채권 등 머니마켓에서 돈을 뺀지 오래라면 지금이 투자 포트폴리오를 바꿀 때다. 부동산과 같은 대형 자산에 올인하는 것은 단기 수익률이 높을 수 있지만 위험도 너무 크다.

채권은 여타 자산들에 대한 헤지성격을 가지고 있다. 경제가 둔화되면 집 값이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지만 채권시장은 강세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자산보다 더 안정적이며 변동성이 낮은 이윤을 안겨준다.

전문가들은 장기 채권 펀드보다는 최근 금리가 더 높고 변동성도 더 낮은 단기 채권 펀드에 초점을 맞추라고 조언하고 있다.구체적인 상품으로는 FPA 뉴 인컴과 하버 본드 등을 추천했다.

예일대의 로버트 실러 경제학 교수는 “단기 금리가 올라 부동산 투자의 매력이 더 떨어졌다”며 “머니마켓을 일시 정차하는 주차장 정도로 생각해 왔지만 이제 진짜 오래 머무를 투자처로 생각해야 한다”고 권했다.

◇부동산 옵션·REITs 등도 유망
더 공격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선물·옵션에 투자할 수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부동산 풋옵션에 투자할 경우 해당 지역 주택 값이 하락하면 풋옵션으로 돈을 벌 수 있다. 트레디션 파이낸셜의 부동산 파생상품 담당자인 프리츠 시벨은 “부동산 풋옵션은 주택 소유자들에게 있어 일종의 보험”이라며 “보유 부동산 가치의 4~5% 정도를 풋옵션에 투자하면 좋다”고 설명했다.

부동산을 소유·운용하는 기업들에게 투자하는 부동산투자신탁(REITs)도 좋은 투자 기회가 될 수 있다. REITs는 일반 주식과 같이 변동성이 크지 않고 수익률도 상대적으로 높아, 좋은 분산투자 수단이다.

써밋 파이낸셜 파트너스의 킴 딧넘은 “포트폴리오 중 5~15%를 REITs와 같은 상품에 투자하라”며 “특히 미국보다 벨류에이션이 낮은 해외 REITs가 유망하다”고 분석했다. 코헨 앤 스티어스 인터내셔널 리얼티 펀드를 그 예로 들었다.

에드워드 존슨의 케이트 원 시장 전략가는 REITs중에서도 주택보다는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하는 회사에 주목하고 있다. 쇼핑센터를 운영하는 킴코 리얼티와 사무실 빌딩등을 운영하는 듀크 리얼티를 추천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