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 인물인 김경준(41)씨가 한국으로 돌아가겠다며 미국 법원에 인신보호 신청 사건 항소취하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미국 내에서 법적 절차가 마무리되는 11월 중에는 김씨의 본국 송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 이명박 한나라당 대선후보를 둘러싼 의혹이 다시 재점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8일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김씨 측 변호인은 지난 1일 항소취하서를 미 연방 캘리포니아 중앙지법에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김씨가 항소를 포기한 것을 의미하고 국내로 들어가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한미범죄인인도협정에 따라 한국 검찰이 미 법원이 송환을 결정한 때부터 2개월 이내에 신병을 넘겨받도록 해야한다.
아직 미 법원이 항소취하 사실을 알리는 우편물을 발송했는지 여부는 확인이 되지 않고 있지만 김씨가 항소를 포기하고 미 국무부가 1개월 내에 송환여부를 결정하면 곧바로 우리 측 외교통상부를 거쳐 법무부에 통보된다. 통상 이같은 송환 절차가 시작되면 피의자가 국내로 오는 데는 대략 1개월 간의 시간이 걸린다. 이같은 절차를 고려한다면 김씨는 이르면 11월 초에는 한국 땅을 밟게 된다.
김씨가 국내로 들어올 경우 지금까지 의혹으로만 남아 있던 김씨의 회사 BBK의 실제 소유주가 누구인지에 대한 조사가 다시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김씨는 지난 8월 국내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명박 후보가 대표인) LKe뱅크의 자본금 60억원과 eBK 자본금 100억원, BBK 자본금 30억원 등 세 회사의 자본금 190억원이 모두 다스 투자자금에서 나왔다”며 “세 회사 모두 100% 이 후보의 회사이며 관련 이면계약서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검찰은 지난 8월13일 이 후보 관련 의혹 사건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다스가 BBK에 투자하기로 의사 결정을 누가 했는지 밝힐 필요가 있으나, 중요 참고인인 김경준이 미국에서 체포돼 범죄인 인도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귀국 때까지 참고인 중지 처분함이 상당하다”고 밝힌바 있다.
현재 서울중앙지검은 김씨와 관련해 두 건을 수사 중에 있다. 금융조세조사1부(강찬우 부장검사)가 BBK주가조작사건을 진행하다 미국에 체류 중인 김씨에 대해 기소중지를 해놓은 상태이며 특수1부(최재경 부장검사)가 이 후보 의혹에 대한 추가 조사를 준비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김씨가 들어올 가능성이 희박해 보이지만 들어올 경우 BBK주가조작 사건과 대선 후보 관련 의혹 사건은 별개로 진행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씨는 2001년 12월 한국 생활을 접고 미국으로 돌아갔으나 2004년 BBK 주가 조작 사건으로 법무부가 범죄인 인도를 청구해 미국 구치소에 수감됐다. 김씨는 국내 송환을 거부하며 곧바로 미국 법원에 인신보호 신청을 냈으나, 2005년 10월 1심에서 기각당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