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지난 2005년 체결한 양해각서에 따라 34종 섬유의류 품목에 대해 할당량을 부과해 적용했던 세이프가드가 올 연말로 종료된다. 이에 따라 상계관세와 반덤핑관세 등 보다 강력한 조치 시행안이 추진되고 있어 의류업계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
미 상무부 산하 섬유협정 이행위원회 매트 프리스트 의장을 비롯한 전미섬유산업위원회 케이스 존슨 회장, 전미신발의류연합 스티브 라마 수석부사장 등은 지난 18일 워싱턴 DC 소재 로널드 레이건 빌딩에서 세미나를 열고 중국 섬유쿼터 종료 이후 미국 섬유시장 보호를 위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매트 프리스트 의장은 “중국 쿼터제 폐지이후 미국 섬유업계의 유연한 대처를 위해 지금부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케이스 존슨 회장은 “중국은 미국의 의류교역중 35%를 차지하며 2위 교역국인 베트남의 6배가 넘고 있다”라며 “현재 쿼터 해당 품목의 점유율은 13%수준이지만 폐지이후 50%가 넘는 점유율로 급등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따라 미국 섬유업계는 섬유수출기업에 대한 중국정부의 각종 보조금 지급을 문제 삼아 부과하는 상계관세와 반덤핑 관세 추진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07년 중국내 의류악세사리 제조업체 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3개 항목에 대한 중국정부의 보조금 지급 사실이 드러나 27%의 상계관세를 부과했으며 그후에도 추가적으로 40개 추가 보조금 지급 항목을 발견해 이에 대한 강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또한 지난 5년간 중국산 섬유 제품에 대해 부과된 반덤핑관세는 평균 79%에 달해 미국의 관련 업계는 쿼터 폐지후 이들 제도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을 요구하고 있다.이에따라 중국생산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한인의류업계는 적지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인의류협회 명원식 회장은 “미국내 수입 규제조치뿐 아니라 인건비상승과 노동법 강화 등 중국에서의 생산환경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라며 “다양한 해외생산기지 확보를 통해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력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경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