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가 금융불안 해소를 위해 야심차게 준비했던 금융권의 부실자산 매입계획이 진통을 겪고 있다. ‘공공.민간 투자프로그램(PPIP)’으로 명명된 이 계획은 지난 3월 티머시 가이트너 재무장관이 발표했을 당시만 해도 금융시장은 이를 환영했고 주가도 상승세로 화답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PPIP는 매력을 상실했다.
대형 은행들은 자신들의 자산을 터무니없이 낮은 가격에 처분하게 될 것을 우려했고 소형 은행은 규모 때문에 소외되지나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느끼게 됐다. 또 이 부실자산의 잠재적 매수자는 정치인들이 수익만 좇는다며 자신들을 매도할 것을 우려해 정부와의 공동 사업에 나서길 꺼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9일 이런 PPIP의 문제점들은 은행들의 산더미처럼 쌓인 부실 자산을 처리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들 자산의 가치가 떨어질수록 은행들은 손실이 누적되고 이는 대출 능력의 축소로 이어져 결국 조속한 경기 회복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미 미국 관리들과 투자자들은 모두 당초 1조달러 규모로 계획됐던 PPIP에 대한 기대 수준을 낮추고 있다. 일부 연방 관리들은 PPIP가 발표된 이후 은행업을 둘러싼 여건이 호전됐고 대형 은행들이 최근 대규모 자본 조달에 성공해 부실자산을 처분해야 한다는 부담이 줄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달 초 예금보험공사(FDIC)는 PPIP의 중요한 한 축인 부실여신 매입자금의 정부 지원계획을 보류했고, 가이트너 재무장관도 투자자들이 참여를 꺼리고 있어 부실자산 매입을 위한 지원규모가 축소될 수 있다고 밝혔다.
(뉴욕=연합뉴스) 김지훈 특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