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방안 이번주 결판

한국 금융계 최대의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방안이 오는 30일 드디어 공개된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 공동위원장 진동수 금융위원장, 민상기 서울대교수)는 30일 오전 10시 전체회의를 열어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의결한 후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금융위원회가 26일 밝혔다.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이날 공자위원들과 조찬 간담회를 통해 우리금융 민영화 논의 진행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전폭적인 지지 입장을 밝혔다고 공자위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아직 논의가 끝나지 않았지만, 민영화 절차가 시작된다는데 의의가 있다”면서 “세부적인 부분은 공자위내 매각소위에서 다듬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공자위는 이미 알려진대로 정부(예금보험공사)가 갖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 57% 전량을 인수희망자에게 매각하는 방안 ▲정부지분을 5~10%씩 잘게 쪼개 분산매각하는 방안 ▲정부지분을 더 잘게 쪼개 시장에 공개 매각하는 블록세일(Block Sale) ▲다른 금융지주회사와 합병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 왔다.
 
아울러 우리금융 계열사인 경남은행, 광주은행, 우리투자증권 등을 떼어내서 별도 매각하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정부지분의 일부를 매각한 후 KB금융 등 대형은행과 주식 맞교환 방식으로 합병하는 절충안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1년 공적자금이 투입된 5개 금융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출범한 우리금융에 대해 여러차례 민영화 의지를 밝혔지만, 본격적인 매각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명박 정부도 출범초기부터 우리금융 민영화에 나서겠다고 천명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으면서 지연됐다.
 
정부는 지난 2004년 9월 우리금융지주 지분 5.7%를 분산 매각하는 것을 시작으로 2007년 6월 5%, 2009년 11월 7%, 올해 4월 9%를 매각해 현재 56.97%의 지분을 갖고 있다.

윤재섭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