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eraldk.com/wp-content/olddata/uploads/junk/4df04a3bf3f75.jpg) |
ⓒ2011 Koreaheraldbiz.com | |
미국에서 시민들이 주택구입시 받는 일반적인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외에 추가로 집을 담보로 가계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38%는 주택 가격보다 대출금이 더 많은 이른바 ‘깡통주택’신세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부동산 자료제공업체 코어로직의 분석 자료를 인용, 이같이 전하고 추가 가계대출을 받지 않은 주택 보유자의 깡통주택 비율은 18%에 그친 것과 비교할 때 추가 가계대출자들의 위험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계대출은 주로 주택가격이 높았을 때, 즉 대출한도가 지금보다 여유가 있을 때 이루어진 것으로 이 자금이 고가의 자동차 등 사치품 구입 등에 쓰였는지 아니면기본 생필품이나 자녀 학자금, 혹은 주택수리비 등으로 쓰였는지 등은 알 수 없다. 가계자금 대출은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약 10%를 차지한다. 주택경기가 침체되면서 이 대출은 금융기관이나 이용자 모두에게 골칫거리로 작용해왔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 대도시 주택가격은 1분기에 4.2%가 하락해 작년 하반기 이후 3분기째 내리막을 가고 있다. 전국적으로 미국의 주택 가격은 지난 2006년의 최고점과 비교해 34%나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최근 미국의 미판매 주택이 모두 소진되려면 9.2개월이 걸린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이는 건전한 시장 수준과 비교해 50% 가량 많은 것이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마트 잔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보유 주택이 이른바 깡통주택이 되면 신용카드를 발급받거나 자동차 구입시 할부를 받기가 매우 어려워진다”면서 “집을 담보로 자영업 대출도 받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연방준비제도 자료에 따르면 주택 보유자들은 주택가격이 높았을 시점인 2004년부터 2006년 사이에 집을 담보로 2조6900억 달러를 대출받았다. 코어로직의 마크 플레밍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주택경기가 좋을 때 쉽게 가계자금 대출을 받은 사람들이 지금 위험에 많이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하지만 주택압류 절차 등이 마무리되면서 전체적으로 깡통주택 비율은 낮아지는 추세다. 올해 1분기에 전국적으로 주택보유자의 22.7%가 깡통주택 신세인데 비해 지난해 4분기에는 23.1%가 깡통주택 상태였다고 코어로직은 밝혔다.
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