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 Koreaheraldbiz.com | |
올해 한국산 농식품 수출이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농림수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 5월까지 농식품 수출액은 28억2000만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4.3% 증가했다. 이러한 실적은 당초 올해 목표로 잡은 증가율 29.3%를 5%포인트 초과한 것으로 국가 전체 수출증가율(27.4%)을 상회하는 결과다. 지난 3월 일본 지진발생 이후 다소 주춤했던 수출은 4월부터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하며 5월만 6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52%나 증가했다.이는 역대 5월 실적으로는 가장 높은 수치다. 수출 증가세의 원인을 살펴보면 한국 업체들의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해외시장 개척의 노력이며 또한 일본 지진 발생이후 일본 내 생산 차질과 해외에서 일본 상품 기피에 따른 반사이익과 결합된 결과로 풀이된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 (4억2000만달러, 50.8%), 대만(9천900만달러, 75.0%), 아세안(3억7000만달러, 51.1%) 등 아시아 국가에 대한 수출 증가율이 두드러졌다.미국은 2억3400만달러로 15.1%의 증가율을 보였다. (표 참조) 특히 일본 수출은 라면, 생수, 과자류 등 구호성 물품과 방사능에 유익하다고 알려진 김,미역,인삼 및 일본내 수급차질을 빚고 있는 전복,굴,토마토,멜론,어류 등의 수출증가에 힙입어 대지진 발생 이후 수출증가율이 22.2%에서 30.7%로 5.5%포인트 늘었다. 품목별로는 인삼(7천900만달러, 113.2%), 막걸리(2천300만달러, 234%), 음료(7천500만달러, 90.1%), 고등어(1천700만달러, 202.6%), 미역(2천100만달러, 126.6%), 김(6천100만 달러, 58.4%) 등 대부분의 농산물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막걸리는 주력시장인 일본으로 대기업제품의 진출이 활발히 이뤄지며 해외마케팅의 강화와 현지 유통망 확대가 수반되어 수출이 급증한 결과 전년 대비 234% 대폭 증가했다. 두드러지게 수출 증가를 보이고 있는 알로에 음료는 지속적인 수요 확대로 미국 수출이 대폭 확대되었다. 기존 동유럽과 동남아 등지에서도 건강음료라는 인식 확산에 따라 수출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알로에 전문 식품회사 OKF 존 박 지사장은 “주류마켓으로 진출이 확대되어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알로에 음료의 맛과 포장을 주류에 맞도록 업그레이드 시킨 결과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 같고”고 밝혔다. 한국산 김은 미국에서 건강 스낵이라는 인지도가 상승되고 있고 일본 지진 이후 일본산 김의 생산 감소와 일본산에 대한 안전성 우려로 한국산 김의 수요가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또한 미국에 진출해있는 한국식품회사와 로컬 한인 식품회사들의 지속적인 마케팅 강화로 소비층이 확대돼 신규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미국 대표 유통회사인 트레이더 조나 코스트코 등에서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어 상당기간 김의 수요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겨울 배추값 파동 이후 식자재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김치는 연초에는 소극적으로 수출이 추진되었지만 일본 지진이후 소포장 김치 위주로 소폭 회복세로 돌아섰다. 수출 비주류 품목이던 유자차(1천600만달러 48.1%), 새송이버섯(1천970만달러 34.3%), 고추장(890만달러 38.8%), 토마토(280만달러 34.8%), 멜론(120만달러 35.8%) 등도 품질개선과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의 결과로 높은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유자차는 주 수출국인 중국지역에서 중소도시로의 수요기반이 확대되고 연중 소비가 활성화되고 있어 꾸준히 수요 증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과실가격으로 상승에 따른 유자가격 증가로 올해 초 바이어가 한국산 재고를 미리 확보하려는 움직임과 일본산 대체수요가 겹치면서 한국 유자차 수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장은 미국, 일본, 중국 등 해외 교포 소비가 높으며 최근 매운맛 등급화 및 현지인 입맛에 맞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현지인 소비가 확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농림식품부 관계자는 “한국 상품에 대한 인지도가 향상되고 일본 상품을 대체하려는 움직임도 크게 작용했다”며 “앞으로 우리 농식품의 고급화를 위한 품질개선과 안전관리 강화, 물류기반 지원등 국내외 수출기반 조성과 한식세계화 연계마케팅 등 적극적인 해외시장개척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가 유지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윤희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