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부동산 회복 지연은 그림자 재고 탓”

미국 부동산시장 회복에는 그림자 재고(Shadow Inventory)의 해소가 관건이라고 한국의 한 경제연구소가 분석했다.

한국의 현대경제연구원은 20일 ‘미국 부동산시장 회복지연의 배경’ 보고서에서 “미국 부동산 시장은 주택 판매 증가, 투자목적용 주택 구입 증가 등 수급 여건이 개선되고 있지만, 가격 하락세가 이어져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미국 부동산 시장의 회복이 지연되는 원인으로는 미국 경기 회복세 약화, 높은 수준의 모기지 연체 비율, 담보 주택 차압률, 그림자 재고를 꼽았다.

그림자재고는 압류절차에 들어간 주택, 악성연체 주택, 차압돼 금융기관이 소유한 주택 등으로 시장에 나오지 않은 주택을 뜻한다.

1분기 미국의 경제 성장률은 연 2.2%로 전분기(3.0%)보다 0.8%포인트 하락했다. 모기지 연체 비율은 1분기에 7.4%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8년 2분기(6.4% )에 못 미쳤고 전체 담보주택 차압 비율은 4.4%로 2008년 2분기(2.8%)의 1.6배 수준이다.

특히 주택시장에 실거래용으로 나오지 않는 그림자 재고의 해소 지연은 미국 부동산 가격 회복세를 약화시키는 주된 요인이다.

미국의 그림자 재고는 1월 현재 기존주택 재고의 약 70%에 달한다. 보고서는 미 부동산중개연합을 인용, “3월의 경우 매매된 전체 기존주택 가운데 할인 폭이 큰 주택이 29%를 차지해 그림자 재고가 할인폭이 큰 매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미국 부동산 시장의 본격적인 회복은 하반기 이후에나 가시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원은 전망했다.

전미주택협회에서 발표한 주택 시장 지수는 이달 29로 기준점인 50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주요 기관들도 그림자 재고의 해소 없이 연내 미국 부동산 시장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연합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