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세 못지켜 혼조 마감

1일 뉴욕증시는 비교적 강한 상승세로 시작했지만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발언 이후 상승분을 상당 부분 까먹어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지난주 종가보다 77.98포인트(0.58%) 오른 13,515.11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3.82포인트(0.27%) 상승한 1,444.49였다.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2.70포인트(0.09%) 하락한 3,113.53으로 끝났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인디애나 경제클럽 연설을 통해 최근 3차 양적완화(QE3) 등 경기부양책에 대한 비판에 반박했다.

그는 경기악화가 예상됐지만 미국의 성장률이 높은 실업률을 끌어내릴 만큼 빠르지 않았다면서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연준의 부양책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버냉키 의장은 또 기준금리를 2015년 중반까지 현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한 것은 경기가 그때까지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가 아니며 경기가 회복된 뒤에도 상당기간 경기조절적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연준의 부양책이 물가를 자극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통화정책에 다시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시장에는 부담을 줬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하는 제조업지수는 9월에 51.5를 기록, 3개월 간의 위축세에서 벗어났다.

이는 전월 49.6보다 개선된 것이고 전문가 추정치(49.7)도 웃도는 수치다.

ISM 제조업 지수가 확장국면을 나타냄에 따라 오전 시장에서 주요 지수가 1% 넘게 오르는 강세를 보였다.

스페인 은행들에 대한 우려가 완화돼 유럽증시가 크게 오른 것도 뉴욕 시장 오전 강세의 원인이 됐다.

국제유가는 혼조세를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지난주 종가보다 29센트(0.3%) 오른 배럴당 92.4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시장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23센트(0.2%) 내린 배럴당 112.16달러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WTI는 미국 제조업 지수의 호조로 상승했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는 지난달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1.5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월의 49.6은 물론 시장의 예측치 49.7을 웃도는 수준이다. 특히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기준치 50을 4개월 만에 돌파해 미국의 제조업 경기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9월 제조업 PMI는 46.1을 기록해 전월보다 상승했다. 하지만 여전히 기준치인 50을 밀 돌아 유로존의 제조업 경기는 위축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금값은 상승했다.

12월 인도분 금은 지난주 종가보다 9.40달러(0.5%) 오른 온스당 1,783.30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연합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