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기획]‘기황후’, 픽션의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본 역사

배우 하지원이 주연을 맡은 MBC 월화드라마 ‘기황후’. 방송 전부터 상당한 진통을 겪어왔다. ‘픽션’이라는 장르가 가져온 오해와 혼선에서 빚어진 결과물이었다. 일부 네티즌들에 의해서 이러한 혼란은 더욱 가중됐다.

이와 관련해 ‘기황후’ 측은 드라마 처음에 이를 분명하게 제시했다. ‘기황후’는 고려 말엽, 공녀로 원나라에 끌려갔다가 황후의 자리까지 오른 여인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으며, 실제 역사적 사실과 인물과는 다른 ‘허구의 이야기’라고 말이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기황후의 일가족인 기씨 가문이 국정을 혼란스럽게 했다는 것은 정설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드라마 ‘기황후’가 ‘역사적 인물에 대한 ‘모티프’를 차용해 이야기를 펼치기 때문에 역사 왜곡이다’라는 주장은 억지에 가깝다.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기록에 의존한 경우가 많은데다 후대 사람들에 의해 해석되기 때문에 어느 것이 정확한 ‘진리’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하물며 기존의 이야기를 영화화 하거나 드라마화 할 때는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관련해 김봉석 문화칼럼니티스는 “상상력이 개입된 픽션에서는 희대의 역적-악인이라도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돼야 한다”고 밝혔다. 과거 영웅이나 역적으로 평가됐던 인물이 새로운 사료와 증언을 토대로 다르게 해석되는 경우도 왕왕 있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그렇다고 해서 ‘기황후’ 측이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기황후라는 인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역사적인 사실을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알릴뿐이다.


완성된 하나의 작품이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이로 인해 다양한 접근이 시도될 때 역사에 대한 제대로 된 인식의 성립이 가능하다. 현재 국사학계에서는 다양한 학설들이 존재한다. 심지어 학문적 견해로 인한 소송도 빈번한 것이 사실이다.

다각도의 검증과 논의를 거쳐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 정설(定說)로 굳어지게 되면 자연히 정사가 된다. 나와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흑백논리는 역사에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사극 작품은 역사에 관한 ‘내용’을 전달하기도 하지만, 이를 보는 시청자들이 역사에 관한 ‘관심’을 갖게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캐릭터에 대한 재평가는 작품을 접한 시청자들에게 맡겨도 늦지 않다. 역사는 역사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 막 이야기의 초반부를 지난 ‘기황후’의 인기가 예사롭지 않다.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이야기는 시청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소화해내는 하지원, 주진모, 지창욱 등 배우들의 열연도 인기에 한몫을 더하고 있다.

연말 MBC 안방극장을 훈훈하게 달구고 있는 ‘기황후’는 매주 월, 화요일 오후 10시에 방송된다.


조정원 이슈팀기자 /chojw00@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