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중심 중간 금융지주 도입 탄력받나

[헤럴드경제=김양규 기자] 삼성생명이 삼성그룹 계열사가 보유한 삼성카드 지분을 대거 사들이고 있는 데다 보유지분율도 30%를 넘어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한 중간 금융지주 체계를 준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지난 13일 삼성전기, 삼성물산, 삼성중공업이 보유한 삼성카드 지분 5.81%(739만6968주)를 취득했다. 삼성카드 지분확보를 위해 삼성생명은 총 2641억원(주당 3만5700원)을 투입했다. 지분율도 28.6%에서 34.41%로 올랐다.

이로써 삼성생명은 삼성전자를 뺀 계열사 보유지분을 모두 흡수했다. 기존의 삼성카드 주요 주주는 삼성전자(지분율 37.45%), 삼성생명(28.02%), 삼성전기(3.81%),삼성물산(2.54%), 삼성중공업(0.03%)이었다.

업계는 삼성생명의 삼성카드 지분율이 30%를 넘어섰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금융지주회사법상 상장사 지분율이 30%를 초과하면 이 회사를 자회사로 편입해야 한다.

업계는 삼성그룹이 현행법 아래서 에버랜드를 지주회사로 두고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한 중간 금융지주를 만드는 지배구조 변화에 착수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중간 금융지주회사는 현행 공정거래법에서 금지하는 지주회사의 금융 자회사 보유를 허용하되, 금융회사가 일정 규모 이상일 때 중간 지주회사 설치를 강제한 제도다. 금산분리 완화에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간 금융지주사 제도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이를 국정과제로 추진 중이지만 관련법 개정이 늦어져 아직 도입하지 못했다.

삼성그룹의 경우 중간 금융지주를 활용하면 지배구조의 핵심인 삼성생명 등 금융회사 지분을 처분하지 않아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할 수 있다.

현재 삼성그룹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최대주주인 삼성에버랜드를 정점으로 한 ‘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순환출자 구조다. 에버랜드가 삼성생명 지분 19.34%, 삼성생명이 삼성전자 지분 7.21%를 소유하고있다.

윤태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보유한 삼성카드 지분 37.5%도 삼성생명으로 매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삼성생명은 삼성그룹 금융 계열사인 삼성화재와 삼성증권 지분을 추가로 확보하고, 자사주를 매입해 중간 금융지주 진용을 갖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실제 삼성생명은 2011년부터 매년 1.5%씩 자사주를 사들이고 있다. 내년 사업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도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밝힐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된다.

kyk74@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