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맨이 돌아왔다’는 지난 18일로 100회를 맞았다. 아이의 육아와 소통에 익숙하지 않는 아빠들이 아이들을 돌보면서 서로 가까워지는 과정을 보는 게 흐뭇했다. 귀여운 아이들이 자라는 과정들, 말을 못하던 아이가 구체적인 표현법까지 익히는 걸 보는 것도 재미있었다.
아빠도 처음에는 아이들을 돌보는 걸 힘들어했지만 경험과 요령이 쌓이면서 쌍둥이는 물론이고 삼둥이, 오둥이까지 돌보는 슈퍼 대디가 됐다. 아이들의 귀여움이 자연스레 드러나는 아빠들의 따스한 육아기는 몇차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인기 지속의 요인이다.
![](http://heraldk.com/wp-content/uploads/2015/10/20151020000304_0.jpg)
하지만 프로그램이 지속되면서 약간은 불가피할 지도 모르지만, 체크해야 될 부분도 생겼다. 그동안 몇차례의 논란들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갈수록 진정성이 훼손돼 간다는 점이다. 출연자와 가족들이 대거 CF에 출연해 상업적 색채를 띠게되면서 진정성이 점점 더 흐려져 가는 양상이다.
요즘 추성훈과 추사랑, 추성훈의 아버지까지 나오는 CF, 송일국과 삼둥이가 나오는 CF들이 적지 않다. 이들이 CF에 나오는 게 문제가 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육아 프로그램의 인기에서 생긴 이미지가 상업적인 CF까지 계속 연결되는 걸 바라보는 것은 별로 반갑지 않다.
안그래도 ‘금수저’ 물고나온 연예인 2세의 특혜성 TV 출연에 대한 반감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이런 CF가 좋게 보일 리 없다. 따라서 ‘슈퍼맨’ 출연으로 인해 생긴 이미지가 공익광고나 재능 기부 광고가 아닌 100% 상업적인 CF에 연결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스스로 출연을 자제하는 게 옳다.
또 하나, ‘슈퍼맨‘은 각종 체험을 선보이고 있다. 아이들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서당체험, 안전체험, 도자기만들기, 치즈목장체험장 등 아이들에게 교육시키고 체험하게 하는 것들은 필요하다.
추사랑이 무서운 훈장님 앞에서 한글 붓글씨에 도전해 한글 이름을 쓰는 걸 성공시키고 점점 예의 바른 어린이로 성장하는 걸 보는 건 기특하다. 제작진도 체험 종류를 엄선하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어떨 때는 ‘체험 퍼레이드’를 펼치는 감이 있다. 이런 체험장들은 모두 상업적인 공간이고, 체험을 위해 가는 장소들이 협찬이나 간접광고와 연관이 돼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모습들은 일반인 가정의 모습과는 다른 부유층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것 같아 공감대를 떨어뜨리고 ‘흙수저’들에게는 박탈감을 느끼게 할 때도 있다. 여기에 출연하는 연예인들은 물질적으로만 따져도 보통 사람들의 수준을 훨씬 넘어섰다. 예능에서 시청자들이 자신들과 동떨어진 연예인의 삶을 구경하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
‘슈퍼맨’이 초창기 큰 인기를 얻은 비결은 추사랑과 삼둥이가 큰 역할을 했지만, 집에서 생활하는 모습과 일상의 소소함에서 비롯됐다. 따라서 ‘슈퍼맨’이 한 가족, 또는 두 가족이 합쳐 여기저기 체험하러 돌아다니기 보다는 일반인들의 일상이라고 느껴질 수 있는 생활들을 좀 더 보여주어야 할 것 같다.
가족예능은 양날의 검이다. 연예인들이 가족간에 소소한 관계와 소통을 하는 모습이 공감대를 이루면 괜찮지만, 그렇지 못하면 프로그램의 기획의도가 희석되거나 특혜 시비 등에 직면할 수 있다.
‘아빠를 부탁해’는 20대 딸과 어색하고 서먹한 관계에 있는 아빠의 짠한 모습을 그리고, 서로 조금씩 이해해 나가는 장면들이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런 공감대가 약화됐다. 조금 더 초심을 찾아야 할 때다.
‘자기야-백년손님’은 연예인(일반인도 포함돼 있음)과 가족들이 나오지만, 후포리 후타삼 어르신들의 거침없고 구수한 입담이 시청자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큰 웃음을 남기고 있다. 또 장모와 사위를 등장시켜 기존 예능과 달리 자연스러운 우리 일상 같은 풍경과 자극적이지 않은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게 ‘자기야’가 300회까지 오게 된 비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