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miBank_Logo_Hor_Color](http://heraldk.com/wp-content/uploads/2015/12/HanmiBank_Logo_Hor_Color.jpg)
한미은행 이사회는 “우리는 여전히 윌셔보다는 한미의 합병 제안 내용이 우월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라며 “하지만 현 시점에서 BBCN과 합병을 추진하는 것은 주주들의 이익을 대변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기에 이르렀다”라고 입장을 정리했다.
한미 이사회는 “윌셔은행과 BBCN이 합병합의에 대한 위약금으로 4천만달러를 물기로한 조항(계약 파기자가 물어야 하는 벌금)을 삽입하면서 BBCN과의 합병 비용이 더 증가한 것도 합병을 포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라고 덧붙였다. 한미 이사회의 이같은 발표에 대해 BBCN과 윌셔측에서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한미가 BBCN과의 합병을 공식 포기하면서 이제 한미의 독자 생존전략에 관심이 모아진다. 우선 가능한 시나리오는 비상장 한인은행과의 합병 추진이다. 하지만 이 경우 기타 은행을 모두 모아도 BBCN과 윌셔가 합친 자산규모 123억달러에 크게 못미친다는 점에서 외형경쟁을 위한 합병목적으로는 실현가능성이 약하다.
또 다른 시나리오는 타인종 대형 은행과의 합병을 들 수 있는데 이 계획은 규모면에서 BBCN과 윌셔 통합은행의 자산규모를 능가하기 위해 한미측이 타인종 은행에 매각되는 쪽이어서 ‘한인은행’이라는 상징성이 사라진다는 점이 걸린다.한편에서는 우리금융이나 하나금융,신한뱅콥 등 한국의 금융그룹에 매각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최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