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2600가구의 만 4세 이상 8000명을 대상으로 VOD 프로그램 시청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고정형 TV를 통한 VOD 시청시간은 가구당 월평균 158분이고, 개인당 월평균 97분이었다.
VOD 시청은 본방송 다음날이 28.2%로 가장 많았고, 본방송 2일 뒤가 13.6%, 3일 뒤가 11.5%였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시청자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58%로 남성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 25.7%, 50대 19.8%, 30대 16.5%, 60대 이상 14.3% 등의 순이다.
프로그램 사업자 그룹별로는 지상파 프로그램이 63.6%를 차지했고, CJ계열 PP 17.8%, 종합편성채널 17.5%, 지상파계열 PP 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장르별로 보면 오락 프로그램이 54.2%로 가장 많았고, 드라마가 38.9%, 정보ㆍ보도가 6.4%, 어린이가 0.3%였다.
오락 프로그램 중에서는 오락종합(86.8%), 토크ㆍ연예정보(7.3%), 음악ㆍ공연(3.4%) 순이었다. 드라마 중에서는 가족드라마(59.2%), 애정드라마(22.2%), 역사드라마(9.9%) 순이다. 정보ㆍ보도 장르 중에서는 다큐멘터리(57.4%), 생활정보(25.1%), 보도(1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드라마와 오락 장르는 40대, 정보ㆍ보도는 60대 이상 시청자가 가장 많았다.
방통위는 고정형 TV VOD 프로그램 시청기록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조사 대상을 3000가구, 조사 기간은 12개월로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