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지 금리 ‘들썩’에 글로벌 주택시장 ‘철렁’

14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년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저금리와 함께 성장해 온 전 세계 부동산 시장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연준의 금리 인상은 주택담보대출금(모기지)과 자동차 할부금, 신용카드 대출금의 이자부담 상승을 부르면서 미국 국민의 실생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다.특히 이 가운데서도 가계부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모기지 상환이 가장 큰 부담이 된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집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미국 가구의 부채 규모는 전 분기보다 0.5% 늘어난 12조3천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8조3천500억 달러가 모기지에 해당했다.미국의 모기지 금리는 이미 대선 이후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국책 모기지 보증 기관인 프레디 맥의 집계에 따르면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가 지난주 4.13%까지 치솟으며 올해 최고를 기록했다.미국의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올해 7월 3.41%까지 내렸다가 이후 대선을 기점으로 급등했다.

버크셔해서웨이 홈서비스의 스티븐 필립 사장은 “모기지 금리가 대선 이후에 튀어 올랐고 연준의 결정으로 좀 더 오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조사업체 질로는 금리 인상으로 모기지 금리가 약 4.0%에서 4.25%로 오를 것으로 가정하면 미국 12개 주요 도시의 대출자가 매달 최대 13만원의 대출 이자를 더 내게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대출자 부담이 가장 커지는 지역은 캘리포니아주 샌호세로, 매달 112달러를 더 부담해야 한다.이외에도 샌프란시스코 거주 대출자는 매월 95달러, LA-롱비치-애너하임 거주자는 68달러를 추가로 내야 하는 것으로 추산됐다.이 같은 관측 속에 미국 국민도 이번 연준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크셔해서웨이 홈서비스가 10∼11월 미국인 2천509명을 상대로 실시한 ‘주택 보유자 정서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주택 보유자의 76%, 향후 보유 계획이 있는 이의 79%가 기준금리 인상이 오늘날 주택시장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연준의 금리 인상을 앞두고 벌인 조사 결과보다 각각 16% 포인트, 8%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연합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