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설 연휴를 지나면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행보를 축으로 보수진영의 ‘후보단일화’가 본격 의제가 됐다. 세 가지 이유에서다. 반 전 총장이 설연휴까지 김종인ㆍ김무성ㆍ손학규ㆍ박지원 등 야권의 거물급 의원들을 차례로 만난 결과, 이른바 보수-진보를 포괄하는 ‘반기문 중심의 빅텐트 제3지대’ 구축 가능성은 불투명해졌다. 새누리당에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대안’으로 공개 거론되기 시작했다. 대권주자인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보수 후보 단일화 필요성을 제기했다.
반 전 총장과의 회동 뒤 더불어민주당 내 ‘비문’(非문재인계)을 대표하는 인사인 김종인 전 대표는 여전히 ‘관망태세’를 유지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반 전 총장이 수구 혹은 이명박ㆍ박근혜 정부 세력과 함께 하는 한 연대는 어렵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반 전 총장이 앞선 두 보수 정부와의 ‘단절’을 전격 선언하고 보수ㆍ진보 통합 행보를 파격적인 수준으로 보여주지 않는다면 ‘반문(反문재인)’을 기치로 한 빅텐트는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대선 본선을 좌우할 선거법 개정과 각 당의 경선도 변수로 꼽힌다. 지난 30일 제1당인 민주당은 선거연령을 18세로 낮추는 선거법 개정안 통과를 2월 임시국회 목표 중 하나라고 밝혔다. 문재인 전 대표와 이재명 성남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등 3파전으로 예상되는 민주당 내 경선, 손학규ㆍ정운찬 등 대선주자 영입을 좌우할 국민의당 경선룰 논의도 관심사다. 이와 함께 국민의당이 당론으로 정한 ‘결선투표제’도 대선판을 뒤흔들 이슈다.
역대 대선에선 아무도 예측 못한 ‘돌발변수’가 당락을 가른 적이 많았다. 1992년 초원복국집 사건, 1997년 ‘김대중-김종필 연합’(DJP연합), 2002년 노무현-정몽준 연합 및 공조파기, 2012년 문재인-안철수 단일화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각 세력간 연대에 따른 단일화와 불출마에 더해 북한의 도발이나 각 주자들의 친인척 비리의혹 및 병역 논란 등도 특정 후보엔 유불리한 이슈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