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창업 이대로 좋은가-전문가 제언] “4차산업혁명, 청년창업 절호의 찬스…패자부활 기회도”

창업 맞춤형 규제 철폐ㆍ유예 도움
경영전략 전수 등 생존력 키워줘야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고용한파 속에 활력을 잃은 청년창업의 불씨를 되살리기 위해선 4차산업혁명이 본격적으로 도래하는 현 시점을 적극 활용해야한다는 것이 전문가들과 창업 현장의 공통된 목소리다.

생계형에 머무르고 있는 청년창업 트랜드를 혁신가형 창업으로 전환하기에 최적의 타이밍이라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선 금융ㆍ정책 지원과 함께 청년창업에 한해 과감한 규제철폐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IT벤처 기업들의 새로운 요람으로 거듭나고 있는 판교테크노밸리. [헤럴드경제DB]

박지순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ICT등 4차산업 분야의 창업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며 “이에 맞는 기술, 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해 창업으로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박 교수는 그러면서 “스타트업 등 창업기업에 기존 규제의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무리가 있다”며 “예를 들어 초기 창업기업에는 노동법 적용을 한시적으로 유예해주고 일정 수준의 성과를 거둔 이후 이를 적용하는 등의 유연한 규제정책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거듭되는 실패가 성공의 발판이 되는 청년창업의 특성상 국가와 사회가 재도전의 기회를 보장해주는 안전판도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실리콘밸리 창업기업의 성공요인은 실패가 실패로 끝나는 게 아닌 성공의 밑거름으로 삼을 수 있도록하는 정부와 기업들의 지원방침”이라며 “한국은 실패한 청년창업의 패자부활전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청년창업이 자리를 잡기 위해선 정부 못지않게 기업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책ㆍ자금 지원도 필요하지만 청년창업자들의 아이디어가 당장 시장에서 상품화되기까지 필요한 기술력과 노하우를 전수해 줄 수 있는 곳은 기업 뿐이라는 것이다. 이와 함께 창업 도전자들 사이에선 대기업들이 각 지역별 거점을 바탕으로 창업 지원에 나서고 있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이대로 문을 닫아선 안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에 입주해 있는 한 스타트업 기업 대표는 “청년창업자들이 아무리 날고기는 아이템을 갖고 있어도 시장에서 생존할 가능성은 장담할 수 없다. 정글같은 시장을 경험해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라며 “기업의 비즈니스 노하우 등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력을 키워주는 인큐베이팅이 창업자들에겐 정책ㆍ자금 지원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말했다.

igiza77@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