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뱅크오브호프가 최근 프록시(proxy·주요 임원진의 연봉 등 은행의 세부사항을 설명한 자료)를 공개했다.
보통 은행의 프록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행장과 이사장을 포함한 각 간부의 연봉과 이사 인준 문제 등이다. 하지만 이번에 공개된 뱅크오브호프의 프록시에서는 이보다 더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바로 수십페이지에 달하는 프록시의 맨 아래단에 들어 있는 외부회계감사기관에 대한 것이다.
이번 프록시에 따르면 뱅크오브호프는 지난 2015년 BBCN시절 외부회계감사기관인 BDO에게 55만 7424달러를 지불했다. 그런데 지난해에는 이 비용이 308만5741달러로 무려 6배 가까이 올랐다. BBCN과 윌셔은행의 합병을 전후해 윌셔측 감사기관인 KPMG에 지불한 12만달러의 추가비용까지 더하면 약 330만달러를 회계감사비용으로 지불한 것이다.
BBCN과 윌셔의 합병으로 규모가 2배 가까이 커진 것과 보고서 제출 지연으로 몇달 간을 허비했음을 고려해도 감사 비용이 예년에 비해 6배 가까이 늘어난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합병을 고려해도 2배에서 2배 반 정도가 적절한데 6배 가까이 뛰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일”이라고 고개를 갸웃거린다. 실제 가장 가까운 비교 대상인 또다른 상장은행 한미은행의 경우 UCB합병 등에 따라 2015년 KPMG에 지난해 감사 비용인 151만달러보다 약 60여만달러가 많은 213만달러를 지급한 바 있다. 두가지 케이스를 직접 비교할 수 는 없지만 합병 은행의 규모에 따라 어느 정도의 추가 비용이 들어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뱅크오브호프와 BDO는 지난 2년간 연례보고서 제출을 놓고 극심한 의견 충돌을 겪었고 이 와중에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회복하기 어려운 불편한 관계가 된 것으로 알려진다. 감사 비용이 이렇게 늘어난 것도 BDO가 뱅크오브호프 측이 확인하기 힘든 각종 항목을 추가해 ‘화끈한 이별 비용’을 챙긴 것이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한인은행의 한 간부는 “2년 연속 연례보고서 제출이 늦어지며 추가 인력을 동원해야 했던 것과 서류 제출이 늦어진 것 그리고 이에 따라 소요된 각종 추가 비용 등을 더해보면 300만달러라는 계산이 나올 수도 있다”라며 “비록 300만달러가 넘는 예상밖 지출이 발생했지만 뱅크오브호프와 같은 규모의 은행이 이 정도 비용으로 골치아픈 문제를 막았다는 것은 큰 손해라고 할 수는 없다”라고 했다. 다만 지점 및 시스템 통폐합 그리고 구조조정 등으로 애써 아낀 돈을 내부통제시스템 혼란에서 비롯된 외부회계감사기관과의 갈등처리 비용으로 쓴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뱅크오브호프가 최근 몇 분기에 걸쳐 자산, 예금, 순익 그리고 대출에 이르기까지 큰 재미를 보지 못한 것까지 고려하면 이번 비용을 언제, 어떤 지출로 처리할 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그 손실을 막을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편 이번 프록시를 보면 케빈 김 행장은 지난해 총 69만 6346달러(기본급 기준, 2015년은 66만8077달러)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59만 2923달러의 연봉을 받은 한미은행 금종국 행장 보다10만달러 이상 많은 액수로 한인은행장 중 단연 최고액이다. 여기에 스톡옵션, 보너스 그리고 기타 비용을 더하면 김 행장의 총 연수입은 211만7176달러가 돼 2015년 당시 자신이 받았던 136만9043달러에 비해 74만8133달러를 더 챙기게 됐다.
김 행장의 연봉 고공 행진은 이게 끝이 아니다. 뱅크오브 호프의 지주사인 호프뱅콥이 지난달 4일 연방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신고한 자료(8K)에 따르면 김 행장은 임기연장(2022년 3월 31일까지)과 함께 84만달러의 기본급을 보장받았고 연봉 대비 75%의 현금 보너스와 125%(최소)의 스탁옵션까지 더하게 되면 최소 250만달러 이상을 수령하게 된다. 김 행장이 지난 2013년 BBCN시절 36만달러의 기본급을 받았던 것에 비하면 불과 몇년 새 기본급만 2.3배 이상 오른 셈이다. 하지만 윌셔와의 합병에 따라 은행 자산이 급증한 점과 비슷한 규모의 케세이뱅크의 던 손 쳉 행장이 280만달러 이상의 연봉을 수령하는 것을 감안하면 김 행장의 연봉이 지나치게 높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게 은행권의 시각이다. 최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