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표]‘미투’가 지속돼야 하는 이유

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용기있는 고백이 이어지고 있다. 검찰 내부에서 시작된 ‘미투(Me Too)’ 운동이 문화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 미투 운동이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으로 펼쳐져야 함을 알려준다.

최영미 시인이 ‘뉴스룸’에서 문단의 성폭력을 폭로하며 자신의 시 ‘괴물’에 등장하는 En선생을 ‘상습범’이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남자문인들의 성폭력에 ‘세련되지 못하게’ 거절하면 보복이 가해진다고 했다. 


성추행 당사자로 지목된 고은 시은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오늘날에 비추어 성희롱으로 규정된다면 뉘우친다”고 말했다. 자신의 행위가 성추행인지를 모르는 건지, 알면서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성희롱으로 규정된다면”이라는 표현을 쓴다는 것은 아직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는 듯하다.

편집 PD를 성추행한 혐의로 대기발령 상태인 MBC 드라마 PD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평소 남녀구분 없이 쉽게 어깨나 등을 토닥거리거나 터치하는 습관이 있음을 깨달았고 깊이 반성합니다”라면서도 “하지만 이것이 지나치게 과장되고 왜곡되어서 제 인생이 망가질 정도의 잘못인지는 잘 헤아려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둘 다 진정한 사과라고 보기 어렵다. 사과속에 담긴 불감증이 더 무섭다. 가해자로 지목되고도 이 정도의 반응이라면 은밀히 자행되는 고질적인 성추행은 그냥 넘어가기 쉽다. 하지만 SBS 스페셜에서는 밝혔듯이, “침묵은 피해자를 도와주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미투’는 혼자서만 간직했던 깊숙한 곳의 상처를 꺼내야 한다. 당사자로서는 괴로운 일이다. 하지만 이제 그들을 ‘이상한 사람’이 아니라 ‘용기있는 사람’으로 바라보고 있다.

문화계 성폭력은 갑을관계에서 자행된다. 캐스팅 문제로 상의 할 게 있다면서 혼자 살고 있는 신인 여배우의 오피스텔로 찾아오는 PD를 거절할 방법이 없다. 조직도 이를 막지 않은 ‘방조죄’가 있다. ‘미투’ 운동은 이런 걸 덮지 않고 문제로 삼아 문화계를 제대로 만드는 작업이다.

서병기 선임기자/wp@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