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기 연예톡톡]그런 ‘전략적 사과’는 ‘미투’ 여성의 2차피해로 이어진다

[헤럴드경제=서병기 선임기자]‘미투’에 의해 지목된 성추행 가해자들의 대처방식이 와닿지 않는다. 오달수는 자신에게 성추행 당했다고 고발한 여성 A 씨에게 “25년 전 잠시나마 연애감정이 있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배우 겸 대학교수 김태훈도 피해 여성 B 씨에게는 “여성분과 사귀는 관계였고~”라고 했고 피해여성 C 씨에게는 “서로간의 호감의 정도를 잘못 이해하고 행동하였고~”라고 말했다. 심지어 당시 피해 학생 B와의 관계를 맺을 때 김태훈은 유부남이었다.

만화가 박재동의 사과를 보면,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에 대한 인식이 결여돼 있다. 잘못한 내용은 없고 사과만 있다. 그러다 뒷부분에서는 “미투 운동 지지”라며 설교(?)를 펼치고 있다.

“이태경 작가에게 사과합니다. 이 작가의 아픔에 진작 공감하지 못한 점도 미안합니다. 저의 잘못입니다. 아울러 수십년동안 남성으로 살아오면서 알게 모르게 여성에 가했던 고통에 대해서도 사과 드립니다. (중략) 저는 미투운동을 지지합니다. 우리 시대가 나아가야할 당면한 길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제가 예외일 수는 없습니다.”


나는 이런 사과들을 ‘전략적 사과’라고 말하고 싶다. 침묵을 지키거나 부인하다가는 전국민적 지탄을 받을 게 뻔하다고 생각해 마지못해 하는 사과로 보인다. 그런 사례를 목격하고 난 후 어쩔 수 없이 이뤄지는 전략적 대응이다.

그러다 보니 사과문들을 보면 변호사와 상의해 올린 사과문, 그래서 빠져나갈 구멍을 확보하고 하는 법리적 사과 같기도 하고, 자기 합리화가 들어가 있는 사과로 느껴지기도 한다. 이렇게 되니 피해자가 ‘추행’과 ‘연애’도 구분하지 못하게 만들어버리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이는 자칫 피해자를 이상한 여자로 만들 수 있다.

오달수의 사과문에 있는 ‘저는 이미 덫에 걸린 짐승처럼 팔도 잘렸고, 다리도 잘렸고, 정신도 많이 피폐해졌습니다’라는 문구는 진정한 사과라면 포함시킬 필요가 없다.

오달수에게 성폭행을 당했다는 A 씨와 엄지영씨는 오달수의 사과에 대해 각각 “변명에 불과하다” “나에게 사과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성추행 가해자들은 진정성 있는 사과가 우선이다. 기억이 없는데 사죄한다고 하면, 위기 모면이자 계산된 억울함 호소이다. 결국 “나는 마녀사냥 당하고 있다”는 다른 표현밖에 더 되는가.

따라서 무엇을(어떤 행위로) 잘못했는지,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지부터 구체적으로 밝히고 사과를 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박재동의 사과는 3분의 1쪽사과일 수밖에 없다.

피해자가 10년전, 20년전 아픈 상처를 왜 꺼내겠는가? 진정한 사과 하나 바라고 큰 용기를 낸 것인데, 진정성이 빠져있는 사과를 접한다면?

/wp@heraldcorp.com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