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방송된 KBS1 ’아침마당-목요특강:발효와 효소, 알고 먹자!’ 게스트로 출연한 이계호 명예교수는 잘못된 상식에 대해 전했다.
이계호 교수는 “한국 사람이라면 일상생활에서 발효 효소 식품을 많이 먹는다”며 인간을 걸어 다니는 흙집에 비유했다.
![]() |
31일 방송된 KBS1 ‘아침마당’ 게스트로 나선 이계호 교수가 발효와 효소 식품에 대한 잘못된 상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방송캡처. |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 과정을 발효라고 설명한 이계호 교수는 “우리가 먹는 밥은 탄수화물이다. 탄수화물은 여러 유기체로 구성돼 있는데 이걸 끊어주는 과정을 발효, 즉 소화라고 한다”며 “이 탄수화물이 발효 과정을 거치면 포도당이 된다”고 예를 들었다.
이어 이 교수는 “효소는 영양성분이 아니라 영양성분을 만드는데 필요한 성분”이라며 “매실(청)에 있는 효소는 매실에게만 필요하고 우리 인간에게는 필요없는 효소다”라고 말해 충격을 줬다.
이 교수 “사람은 나이가 들면 당연히 효소가 줄어든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중에 파는 것을 매일 먹는 것은 좋지 않다고 했다.
그는 시중에 파는 대부분의 효소가 곡물을 발표시킨 효소로, 가끔 소화가 안 될 때 먹는 것은 도움이 되지만 매일 먹으면 신체 소화효소 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이 교수는 매실 청 담글 때 유의 사항에 대해서도 말했다.
살구와 복숭아, 매실의 씨앗과 아마 씨에는 아미그달린이라는 성분이 포함돼 있는데 이는 인체에 청산가리와 같은 작용을 한다며 매실 액을 담글 경우 꼭 씨를 빼고 담가야한다고 강조했다. 만약 씨를 빼지 않고 담글 경우 1년 이상 지난 섭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아미그달린은 일부 열을 가하면 분해된다”며 “아몬드나 아마 씨를 볶아서 먹으라고 하는 이유가 이것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