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PBV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 공략…“우버·쿠팡·CJ대한통운 등과 협업으로 무한확장” [CES2024]

카림 하비브 기아 부사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4’ 기아 미디어데이 현장에서 2025년 공개예정인 기아 PBV 모델 PV5를 소개하고 있다. 김성우 기자

[헤럴드경제(라스베이거스)=김성우 기자] “목적기반모빌리티(Purpose-Bulit Vehicle)를 넘어,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Platform-Beyond Vehicle)으로.”

기아가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2024’에서 목적기반모빌리티(PBV)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기아는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CES 미디어데이’에서 ‘준비된 기아가 보여줄,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라는 주제로 PBV와 관련 미래 전략을 공개했다. 기아의 CES 참가는 지난 2019년 이후 5년 만이다.

기아의 PBV 전략은 ▷전통적 자동차 개념을 탈피한 PBV 라인업 출시 ▷파트너십 다각화를 통한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 ▷소프트웨어(SW)를 기반으로 한 최첨단 기술 적용 등 3가지로 요약된다.

오는 2025년 출시 예정인 기아의 첫 번째 PBV 모델 ‘PV5’가 그 중심에 선다. 이 차량은 중형 PBV 모델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탑재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기아 관계자는 “PV5가 차량 호출 서비스나 배달 산업, 유틸리티 분야 등 다방면에서 쓰임이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PV5는 엔트리 기준 3만5000달러 안팎으로 책정될 예정이다.

기아는 이후 대형과 소형 PBV 라인업을 순차적으로 출시하면서 대형 물류 회사와 모빌리티 기업, 개인 사용자까지 PBV 고객층을 확보한다.

또한 사업적인 역량과 고객 데이터를 확보한 후에는 PBV 사업을 ‘완전한 고객 맞춤형(비스포크)’ 분야로까지 진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기아는 올해 CES 현장에 ▷베이직 ▷딜리버리 ▷딜리버리 하이루프 ▷샤시캡 등 4종류의 PV5와 소형 PBV PV1, 대형 PBV인 PV7의 콘셉트카를 공개하면서, 청사진 실현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기아는 현재 우버, 쿠팡, CJ대한통운, 카카오모빌리티 등의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PBV 전용 사업 체계를 강화해나갈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미국 전장기술 업체 앱티브(Aptiv)의 자율주행 합작법인인 모셔널과는 ‘레벨 4(고등 자율주행)’ 수준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PBV 로보택시를 개발할 예정이다.

카림 하비브 기아 부사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4’ 기아 미디어데이 현장에서 2025년 공개예정인 기아 PBV 모델 PV5를 소개하고 있다. 김성우 기자

소프트웨어분야에서는 ▷IVI(차량용 인포테인먼트) ▷FMS(차량 관제 시스템) ▷차징(충전) 등 세 가지 영역에서 PBV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

IVI는 고객이 필요한 서비스를 직접 개발해 PBV 애플리케이션 마켓에 바로 반영하는 기술, FMS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운전자에게 정비정보를 제공하고 PBV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는 도모하는 기술, 충전 소프트웨어 분야는 스케줄이나 운행경로, 일정 등을 고려한 충전 컨설팅을 제공하고 고객에게 최적화된 충전 일정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세 가지 기술 보두 소비자의 차량 이용 목적을 강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역량’ 분야로 여겨진다.

피에르 마르탱 보 기아 PBV비즈니스 사업부 상무는 “기아 PBV의 소프트웨어는 이동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고객 비즈니스 차별화까지 도모하고 있다”면서 “기아 PBV는 소프트웨어와 다양한 비즈니스 경험을 축적하며 차량 간 연결성을 강화하고, 이후에는 사회 인프라를 통합시킬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이다”고 기대했다.

한편 기아는 PBV 청사진을 받칠 생산설비 증설에도 박차를 가한다. 현재 오토랜드 화성에서는 연간 15만대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춘 PBV 전기차 전용공장 ‘이보 플랜트’(EVO Plant)를 구축하고 있다. 이보 플랜트는 향후 다양한 고객의 니즈에 맞춰서 셀 각자 생산 방식으로 PBV 본격 양산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보 플랜트에서는 디지털과 로봇 기술이 적용되고 컨베이어 시스템과 셀 생산방식이 접목된다. 이를 통해 한 공장에서 고객의 목적에 맞춘 다양한 제품을 생산가능한 ‘다품종 소량생산체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장에서는 PBV의 목적 변경에 따라 차량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이지스왑’(Easy Swap) 기술,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차체 크기나 높이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다이나믹 하이브리드’(Dynamic Hybrid) 기술도 도입이 준비되고 있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지난 2021년 사명을 ‘기아차’에서 ‘기아’로 바꾸고, 전동화와 고객중심 전략 등 다방면에서 변화를 가져온 기아는 PBV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려고 한다”면서 “앞으로 기아의 핵심 사업전략으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전환의 중심에 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아 신규 PBV 라인업. PV1(왼쪽부터) , PV5 베이직, PV5 딜리버리 하이루프, PV7 [기아 제공]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