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7.6 강진 한반도에도 여파…지하수 1m 출렁거렸다

일본 7.6 지진의 영향으로 지하수위 변화가 감지된 지하수 관측정.[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새해 첫 날 일본 서북부 이시카와현에 발생한 규모 7.6의 강진 여파로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지하수환경연구센터는 지난 1일 발생한 일본 강진 이후 국내 지하수 관측정 세 곳(문경, 강릉, 양구)에서 지하수 수위 변화를 관측했다. 연구진은 동해 묵호 등에 도달한 지진해일이 우리나라 국내 지하수 수위 변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먼저 진앙에서 약 800km 떨어진 문경 지하수 관측정에는 지진파의 영향으로 지하수 수위 변화가 최대 변동 폭 107.1cm에 이르는 것을 확인했다. 변동시간은 3시간이었으며 1초 간격 모니터링을 통해 상승과 하강의 반복현상을 탐지했다.

문경 지하수 관측정에서는 지진파의 영향으로 지하수 수위 변화가 최대 변동 폭 107.1 cm에 이르는 것을 확인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양구 지하수 관측정에서는 동일한 지진파의 영향으로 지하수 수위가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변화를 가져왔다. 급격한 지하수 수위의 하강은 지하수가 유출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강릉 지하수 관측정에서는 약 10cm의 지하수 수위의 변화가 1일 오후 6시 10분부터 다음 날 오전 4시 10분까지 10시간 가량 지속됐다. 관측 결과로 볼 때, 지진해일은 해안대수층에 해수를 유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안지반의 안정성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은 “일본 지진의 영향 때문이 아니더라도 한반도의 동해안은 지진해일의 위험이 상존하는 지역”이라면서 “올 5월에 취항하는 최첨단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를 활용해 해저단층조사와 정밀한 해저지형도 작성 등 대한민국의 안전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