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 경영” CJ올리브영, 3년간 3000억원 투입한다

올리브영 매장 전경. [CJ올리브영 제공]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CJ올리브영이 신생·중소 뷰티기업과 상생경영 및 준법경영 강화를 위해 3년간 3000억원을 투입한다고 11일 밝혔다.

CJ올리브영은 중소 협력사의 자금조달 부담을 줄이고자 금융기관(IBK기업은행)과 1000억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올리브영 상생 펀드를 통해 적용받는 감면금리는 연 2.39%포인트다. 이에 따라 대출 금리는 최대 절반 수준으로 낮아진다.

기업당 최대한도인 10억원을 대출받으면 연간 2400만원의 이자를 줄일 수 있다. 입점한 기업들 가운데 1차로 신청한 50개 기업이 1월부터 혜택을 받는다. 연내 적용 기업을 100개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올리브영은 2021년부터 직매입사의 대금결제 시기를 60일에서 30일로 단축한 데 이어 이를 전체 협력사로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K뷰티 산업 생태계 육성에도 3년간 500억원도 투입한다. 새로운 브랜드와 제품을 발굴·육성하고, 해외로 진출할 수 있도록 기획부터 연구개발, 영업·마케팅을 세심하게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위생·건강 소외계층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 친환경 활동 등에도 3년간 약 500억원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소외계층 여성 청소년에게 기초 위생제품을 전달하는 ‘핑크박스’ 캠페인을 서울 중심에서 전국 단위로 확대하고 올리브영 PB(자체 브랜드) 상품 마케팅과 연계한 지역 상생 프로그램도 기획 중이다.

이 밖에 사내 자문기구인 준법경영위원회를 신설하고, 외부 위원 영입 및 준법경영 ISO 인증 추진 등을 통해 사업 전반의 준법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전국의 올리브영 매장 수는 1300개다. 판매 제품 중 중소기업의 독립 브랜드, 이른바 ‘인디 화장품’ 비율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올리브영은 자사에 입점한 ‘마녀공장’이 상장하고 VT코스메틱 등 화장품이 해외에 알려지는 등 K뷰티 산업을 육성하는 데 일조했다고 설명했다.

이선정 올리브영 대표는 “토종 뷰티 플랫폼인 올리브영과 해외 시장에서 선전하는 성공모델을 확산해 화장품이 대한민국 대표 수출 품목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K뷰티 산업의 글로벌 전성기를 이끄는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2010년대 초중반 연 2조~3조원대에서 지난해 약 11조원(84억7000만달러)까지 급증했다. 다양한 중소 브랜드가 자생할 수 있는 생태계가 구축되면서 K뷰티 브랜드의 성장이 가속화된 결과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