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는 부담 없는 가격의 착한가격업소 음식점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신한카드에서만 제공되던 착한가격업소 1만원 이상 결제 시 2000원 환급(캐시백) 혜택이 올해는 국내 9개 카드사로 혜택이 확대돼 A씨가 보유하고 있는 다른 카드도 착한가격업소 이용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앞으로 신한카드, 롯데, 비씨, 삼성, 우리, 하나, 현대, KB국민, NH농협 등 9개 카드로 ‘착한가격업소’에서 결제하면 1회당 2000원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기존 신한카드 1개에서 혜택이 확대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 국내 9개 카드사, 여신금융협회, 새마을금고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와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각 카드사는 2월 이후 캐시백, 청구할인, 포인트 제공 등 다양한 형태로 혜택을 제공하게 된다. 카드사는 홈페이지·앱(APP) 등을 통해 착한가격업소 홍보를 지원한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착한가격업소 24개 업소에 1개 업소당 400만원 한도로 간판·집기 비품 교체 및 수리 등을 돕는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사업 활성화를 위한 홍보 및 신규 가맹점 발굴 등을 지원한다.
행정안전부와 금융감독원, 여신금융협회는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를 위해 기관 간 협력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등 행정지원을 제공한다. 특히 행정안전부는 올해 국비 지원 지난해 15억원에서 18억원으로 확대한다. 배달앱 등 민간플랫폼과 협업하여 착한가격업소 활성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민간 배달플랫폼을 통한 착한가격업소 메뉴 배달 시 할인쿠폰 발급 등 배달료를 추가 지원하고, 민간플랫폼의 위치기반서비스와 연계하여 이용자가 착한가격업소 운영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현재 착한가격업소는 한식·일식·중식·양식 등 외식업 5257개, 세탁·이용·미용·목욕업 등 외식업 이외 업종 1808개 등 전국적으로 7065개소가 지정·운영 중이다. 2024년 말까지 1만 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홍태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