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진행 서울대의대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전공의들과 긴급 회동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 |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사직한 전공의들을 돌아오게 하기 위해서는 협박이나 강제가 아닌 설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정부에 의과대학 교수들과의 소통 채널을 만들고 정기적인 대화를 할 것을 요청했다.
26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오전 7시 30분께 서울대병원 본원에서 소속 전공의들과 전격 회동을 가졌다. 그동안의 비대위 활동과 사태 출구전략 등을 교수와 전공의들에게 설명하고 의견을 공유하는 ‘제1회 대면 보고회’로 진행됐다.
이날 보고회에는 교수와 전공의 80여명이 참석했으며, 비공개로 진행된 회동은 오전 8시 10분께 끝났다.
비대위는 이날 성명에서 “전공의들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현장을 떠나고 있는 것이며, 이를 돌리기 위한 대책은 협박이나 강제가 아니라 설득에 의해야 한다”며 “제자들에 대한 정부의 조치가 법률적으로 부당할 경우 우리도 사법적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법리와 법률적 실무능력을 갖춘 조직을 만들 준비를 마쳤다”고 했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해선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성명서에서 “의과대학 정원조정과 관련해서 정부가 내놓고 있는 방안은 여러 측면에서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수십년 간 의대 교육을 일선에서 담당해온 우리 교수들은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이미 느끼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대화는 모든 것에 우선한다. 정부는 의과대학 교수들과의 소통 채널을 만들고,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정기적으로 만나서 대화하기를 요청한다”면서 “실질적인 협의를 4월 총선 이후로 연기하는 대신, 그 동안 의제 설정과 기본적인 상호 의견교환을 지속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정진행 서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분당 서울대병원 병리과 교수)은 지난 25일 자신의 SNS에 “지난 금요일 저녁 차관님과의 허심탄회한 대화 속에서 정부가 이 사태의 합리적인 해결을 원하고 있으며, 향후 이성적인 대화를 통해 최적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전공의들에게 과도한 위협이 될 수 있는 강종 발언들은 자제해달라”면서 “전공의의 근무 여부를 확인하겠다고 진료와 관계없는 인원이 병원 내의 민감한 구역까지 드나드는 등 각종 절차의 진행에 있어서 법적 절차와 제한을 지켜달라”고 했다.
아울러 “필수의료체계 유지와 관련해 정부와 교수들이 함께 만나 협의할 수 있는 모임을 만들었으면 좋겠다”면서 “일주일에 한번, 아니면 이주일에 한번이라도 정기적으로 만나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가벼운 형식으로 발표하면서 국민의 불안감을 없애고, 학생과 전공의들도 다시 공부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