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숙(왼쪽부터) 여성가족부 장관, 정순택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지난 10월 업무협약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우리금융지주 제공] |
“미성년 미혼 한부모는 경제활동을 할 수가 없어요. 거기에 온 가족과 같이 생활하면 다행인데 또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아요. 상대적으로 좀 더 취약할 수밖에 없는 이들에게 지원을 집중하게 된 이유에요”(우리금융미래재단 관계자)
우리금융은 왜 미혼모를 지원하기로 했을까. 현재 우리나라의 해외 입양 현실은 세계 3위 수준이다. 2022년에만 142명이 해외로 보내졌다. 국내에서 다른 가정을 찾은 아이들까지 포함하면 전체 입양아 324명 중 43.8%에 달하는 수치다. 이들은 대부분 미혼모의 자녀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해외 입양아 가운데 미혼모 아동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8년 99.7%, 2019년 100%, 2020년 99.6%에 달했다. 여기에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지난 5년간 이뤄진 해외 입양 자료를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로부터 제출 받아 분석한 결과 입양을 보낸 사유는 미혼(친모 65.6%, 친부 23.4%)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음이 경제적 이유(친모 23.0%, 친부 8.5%)였다. 우리나라가 미혼모가 아이를 키우기에 매우 힘든 여건이라는 의미다.
세계 ‘꼴찌’ 수준의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무분별한 해외 입양을 줄이려면 미혼모 지원 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미혼모가 출산하는 아이들의 비중은 절대적으로 적지만, 누구든 차별받지 않고 양질의 출산과 양육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우선이라는 것이다.
유미숙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대외협력국장은 “일반 직장인의 경우,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의 사내 복지를 이용할 수 있지만 미혼모 중에는 이같은 복지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이들이 더 많다”며 “임신 3~10개월동안 공백이 생기는데, 이 공백기간을 매워주면 좀 더 질적인 출산을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우리금융그룹의 우리금융미래재단은 여성가족부, 천주교 서울대교구와 함께 미성년 미혼 한부모의 자립 지원사업을 위해 ‘3자 협약’을 맺었다. 전국에 있는 미혼 한부모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매월 생활비를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대상자에는 임산부도 포함된다. 우리금융미래재단은 연간 최대 12억원을 지원한다.
정부기관과 종교까지 다함께 손을 잡은 이유는 더 폭넓은 지원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금융미래재단 관계자는 “여가부에서는 각종 지자체에서 한부모 급여를 받는 대상자를 발굴할 수 있고, 천주교에서는 또 종교 시설에 소속된 이들을 추천해줄 수가 있다”고 설명했다.
재단의 이사장을 맡고 있는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우리금융이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미성년 미혼모들을 따뜻하게 보듬어주겠다”며 “미래세대를 보호하고 그들의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일에 우리금융이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민간 주도적인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고 말한다. 단순한 현금성지원에서 더 나아가 개개인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유 국장은 “현금성 지원은 개인의 상황이 어떤지에 따라 그 효과가 천차만별”이라며 “빚이 있는 미혼모는 신용회복을 통해 원금을 감면해준다든지 등 개개인별로 상황에 따라 삶의 전환점을 만들어주는 현실적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승희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명예교수는 “미혼모·기혼모에 대한 인식 전환부터 없애나가야 할 것”이라며 “민간 기업과 정부가 함께 지원해나가는 것이 저출산 극복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홍승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