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공요금 동결 기조에도 공공서비스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서울역버스종합환승센터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앞으로 각국의 통화정책 전환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개별 국가의 물가 상황 등에 따라 시작 시점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공공요금 등에서 비용압력이 누적돼 있다.
한국은행은 27일 최근 한국·미국·유로 지역의 디스인플레이션 흐름 평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보고서에 따르면 주요국 물가 상승률은 정점부터 12개월 동안 에너지 가격 흐름이 글로벌 디스인플레이션 공통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빠르게 둔화했다.
그러나 이후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유가가 다시 상승하면서 둔화 흐름이 주춤한 탓에, 라스트 마일(last mile, 목표에 이르기 직전 최종구간) 과정에서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순조롭게 수렴해 갈지에 대한 우려가 다시 커졌다.
에너지 가격 외 인플레이션 둔화를 저해하는 요인은 국가별로 다르다. 우리나라는 농산물 가격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8∼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큰 폭으로 상승한 데는 농산물 가격 급등이 크게 작용했다.
반면, 미국은 견조한 고용 상황이 지속되면서 근원 서비스 물가 상승 모멘텀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한은은 "앞으로는 지정학적 위험 고조에 따른 국제유가 상방 리스크뿐 아니라 미국의 견조한 경기·노동시장 상황, 우리나라의 높은 농산물 가격과 누적된 비용압력, 유로 지역의 높은 임금 오름세 등이 향후 물가 흐름을 더디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라스트마일에서 물가 둔화 속도는 각국의 통화 긴축 기조 전환 시점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