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사진=AFP] |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중국 정부가 올해 강도 높은 경기부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무역협회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연례회의 개막일인 5일 발표한 ‘2024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산업 정책 방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올해 성장에 좀 더 무게를 실은 경제 청사진을 내놓았다고 평가하면서 이 같이 전망했다.
무역협회는 “중국 정부의 2024년 경제 성장 목표치 ‘5% 내외’로 글로벌 주요 기관 예상치인 4%대 중후반대보다 높은 수치”라면서 “5% 성장을 사수하기 위해 정책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각각 4.6%, 4.7%를 제시하는 등 세계 주요 기관은 중국 경제가 올해 5%대 미만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주로 서방권에 기반을 둔 주요 기관들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지정학적 무역 긴장, 중국 내부의 경제 개혁 지연 요인을 고려한 것이다.
무역협회는 “중국 정부가 이날 업무보고에서 경제 정책 기조를 설명하는 부분에서도 예년보다 성장을 좀 더 강조했다”면서 “서방의 보수적 전망 대비 중국 정부의 ‘5% 내외’ 성장률 제시는 경제 회복에 대한 자신감 표출이자 경기 부양에 대한 확고한 의지로 해석된다”고 평가했다.
경제 기조에 관련된 표현도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변경됐다. 지난해 중국 정부가 내놓은 경제성장 표어는 ‘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되, 안정 속 성장 추구한다(穩字當頭,穩中求進)’. 올해는 ‘안정 속에서 성장을 추구하고, 성장으로 안정을 촉진하며, 먼저 새것을 확립한 후 낡은 것을 타파한다(穩中求進, 以進促穩, 先立後破)’였다. 이를 두고 무협은 “중국 경제 정책 기조는 과거 2년간 안정을 최우선으로 했으나, 올해는 안정보다는 성장에 더 무게를 실을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무협은 앞서 지역별로 진행된 31개 성급 행정구역별 지방정부 업무보고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중국 경제의 6대 경제 정책 키워드로 ▷신(新) 질적 생산력 제고 ▷투자 활성화 및 소비 촉진 ▷청년 고용 안정화 ▷디지털 인프라 투자 확대 ▷ 지역별 경제 발전 추진 ▷농촌 발전 추구를 선정했다.
전보희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중국의 부양책 시행은 중국 경기 회복에 긍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부동산 침체 장기화, 외국 기업의 탈중국 심화, 높은 청년 실업률 등은 올해에도 가장 큰 리스크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