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은행 글로벌 순익 3.8배 성장…하나·신한 ‘방긋’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이 해외에서 거둔 순익이 4배 가까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부진했던 해외 시장이 중국을 중심으로 개선되는 모습이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각 은행의 연결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이 해외법인에서 벌어들인 순이익은 7382억원으로 전년(1904억원) 대비 3.8배 성장했다.

이 가운데 하나은행은 해외법인 순이익이 2022년 71억원에서 지난해 1129억원으로 15.9배 폭증하며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 법인인 하나은행중국유한공사가 972억 적자에서 49억원 흑자로 돌아서며 성장세를 견인했다. 코로나19 기간 중국 내 봉쇄정책으로 악화됐던 영업환경이 개선된 덕분으로 보인다. 미국 법인들(+141.6%)과 유럽 지역의 핵심인 독일 법인(+14.8%), 홍콩 법인(+37.3%)도 두자릿수로 성장하며 해외 실적을 뒷받침했다.

신한은행도 지난해 해외법인 순이익이 2022년의 4269억원에서 4824억원으로 13.0% 증가하며 순항했다. 해외사업의 핵심인 신한베트남은행이 전년 대비 17.7% 성장한 2328억원의 순익을 올린 데다, 일본(SBJ은행)에서도 8.8%의 성장세를 이어가며 1270억원의 순익을 기여했다. 미국 법인이 적자로 돌아서긴 했지만, 카자흐스탄(94억원→687억원), 독일(49억원→102억원) 등 지역에서 크게 성장하며 이를 상쇄했다.

KB국민은행은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기는 했지만, 적자폭을 2022년 -5580억원에서 지난해 -1114억원으로 크게 줄여 눈길을 끌었다. 코로나19 타격이 컸던 중국 법인이 303억원 흑자로 전환했고, 미얀마 법인들도 3871억원 흑자로 돌아선 덕이다. 꾸준한 부실자산 정리로 체질개선 중인 인도네시아 KB부코핀은행의 적자폭이 -8021억원에서 -2613억원으로 축소된 효과도 봤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해외 순이익이 254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8.6% 감소했다. 홍콩(99억원→145억원), 미얀마(19억원→24억원)에서 선전했지만, 우리은행의 최대 해외법인인 인도네시아(684억원→603억원)와 베트남(632억원→597억원), 캄보디아(598억원→252억원)에서 성장세가 주춤해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에 대한 제재 후폭풍이 우려되는 러시아의 순익도 32.9% 줄어들었다.

이들 은행은 올해도 해외사업에 드라이브를 건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가계대출 확대에 따른 ‘이자장사’로 비판을 받는 상황에서 해외로 눈을 돌려 새로운 수익처를 적극 발굴한다는 복안이다.

금융지주들도 글로벌 수익 비중을 20~4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고, 금융당국도 금융회사의 해외진출에 적극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4대 은행의 전체 순이익(12조3217억원)에서 해외 비중은 6.0% 수준이었다. 강승연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