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의협 회장 “尹사과부터”라는데…정부 “대화 나서달라” 되풀이

임현택 신임 대한의사협회장(왼쪽)과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 [연합]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정부가 병원에 복귀하지 않고 있는 전공의들을 향해 대화에 나서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27일 브리핑에서 "책임 있는 대표단을 구성해 정부와의 대화의 자리로 나와주시기를 바란다"면서 "대표단 구성은 대화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고, 이는 법 위반에 해당하는 집단행동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게 다시 한번 말씀드린다"고 밝혔다.

박 차관은 정부가 여러 차례 대화 요청에도 전공의들이 대표가 없다는 이유로 대화에 나서지 않고 있다면서 "(전공의들과의) 접촉 노력과 대화를 위한 노력은 지금까지도 해왔지만, 앞으로도 더 지속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주변 눈치 보지 말고, 나부터 먼저 의료현장으로 복귀하는 용기 있는 결단을 촉구한다"며 "이제 의료현장으로 돌아와 환자의 곁을 지켜주시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앞서 전날 신임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에 당선된 임현택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장은 대화의 조건으로 윤석열 대통령 사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박 차관 파면, 의대 증원에 관여한 안상훈 전 사회수석의 공천 취소 등을 내걸었다.

전국 의대 교수들의 '무더기 사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의정갈등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26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 내원객이 머리를 의자에 기대고 있다. [연합]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의대 정원 확대가 의료 정상화의 필요조건이라고 강조하며 의사들을 향해 대화에 나설 것을 외치고 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며 "의대 정원 확대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의사 수를 늦게라도 확충하려는 것"이라며 "소모적인 갈등을 멈추고 건설적인 대화의 장으로 나와 난제들을 함께 풀고 의료 정상화 방안을 발전시키는데 함께 해달라"고 촉구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곽 만나 "2000명 증원은 이미 완료된 상황"이라며 "전제조건 없이 다시 한번 대화에 나서주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