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9조원 PF사업자보증 신속히 공급하겠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4일 “9조원 규모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자보증 확대 및 비주택PF 사업자보증을 조속히 공급하고, 약 8조원 규모의 건설사 관련 금융지원도 적극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한국건설경영협회, 대한건설협회, 한국주택협회, 대한주택건설협회 등 건설유관단체 및 건설사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초청한 간담회에서 건설업계 애로사항과 부동산 PF 연착륙을 위한 현장의견을 청취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건설업은 약 200만개의 일자리와 국내총생산(GDP)의 5.7%를 담당하는 한국경제의 버팀목”이라며 “하지만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으로 건설업계의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특히 부동산PF는 건설과 금융이 상호연계되는 영역으로, 고물가·고금리 부담이 건설업계는 물론 금융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건설업계와 금융권 간에 협력이 중요하고 정부의 세심한 정책적 노력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위원회가 2022년 하반기 ‘50조원+α’ 시장 안정조치‘를 마련한 이후 기재부·국토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내놓은 ’85조원+α‘ 규모로 금융지원을 확대 제공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지난 3월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발표된 부동산 PF 연착륙 방안을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한국주택금융공사의 PF사업자보증을 25조원에서 30조원으로 확대하고, 또 건설공제조합을 중심으로 비주택 PF사업자보증 4조원을 신설해 총 9조원을 추가 공급하기로 했다. 여기에 약 8조원 규모의 건설사 관련 금융지원도 적극 집행한다.

또 PF대주단 협약 개정, 금융기관의 PF사업성 평가기준 개선 검토 등 부실사업장의 재구조화 촉진을 병행함으로써 부동산PF 시장의 질서있는 정상화도 추진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은 건설업계도 시행사·대주단과 함께 부동산PF 정상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금융위는 “간담회를 비롯해 업계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부동산PF 연착륙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관계기관과 함께 필요한 조치·지원을 검토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홍승희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