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범(앞줄 왼쪽 세 번째) 한국경제인협회 부회장과 로버트 앳킨슨(네번째) 미국 정보혁신재단(ITIF) 회장 등 내빈들이 12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글로벌 첨단기술 선점을 위한 한미협력 세미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경협 제공] |
미국 내 첨단 기술 파트너십 수요가 대폭 커지고 있어 한국이 반도체·양자 컴퓨팅·원자력 등에서 적극적으로 협업을 제안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등 글로벌 무역 시장에서 불평등 문제가 있는 중국산 제품 관련 여러 국가가 힘을 합쳐 제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와 테크앤트레이드연구원이 12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한 ‘글로벌 첨단기술 선점을 위한 한미협력 세미나’에서 로버트 앳킨슨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회장은 “미국의 대선 결과와 무관하게 한국의 우수한 기업들이 미국의 핵심 파트너로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고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알릴 필요가 있다”며 “한국의 경우 전자분야에서 제조 능력이 상당히 탁월하고, 미국은 소프트웨어에서 탁월하기 때문에 이 둘을 어떻게 결합할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앳킨슨 회장은 양국간 상호 윈윈이 가능한 분야로 반도체, 양자컴퓨팅 등을 꼽았다. 이외에도 양국간 기술협력이 유망한 분야로 스마트 시티, 로봇, 원자력, 조선, 스마트 제조 분야를 제시했다.
그는 “과거와 달리 지금 미국에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파트너십에 대한 수요가 있으며, 미국은 한국이 성공하길 원한다”며 “한국에서 적극적으로 실천 가능한 협업 전략을 제안해준다면 미국에서는 반길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의 수출규제 등이 한국에 압박을 가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을 겨냥해 공동으로 조치를 취하고자 함이라고도 강조했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스탠포드대학 연구에 따르면 국내 AI 투자와 특허수는 세계적인 수준이지만, AI 바탕 기술인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은 지난해 한 건도 없었다”며 “2020년 한국의 AI 인재 수는 전세계 전문인력 47만8000여 명 중 0.5%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2022년 매출 기준 세계 톱 50 제약사 중 한국 기업은 0개로, 글로벌 바이오 기업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원천기술에 강점이 있는 미국과 첨단 제조분야 생산기술에 강점이 있는 한국이 신기술 분야에서 협력해 나가면 엄청난 시너지를 일으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민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