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최대 경쟁자로 지목” 中 때릴수록 회사는 강해졌다

통신장비업체 화웨이 [AFP]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 화웨이가 더욱 강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화웨이가 서방 공급망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중국 정부가 전폭적인 지지에 나서면서 국영기업화됐다는 주장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9일(현지시간) 지난 5년간 화웨이의 행보에 주목하며 중국 정부가 거액을 쏟아부으며 전폭적으로 지원한 덕에 화웨이는 오히려 더 강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이 중국의 기술 야망을 막기 어려운 이유를 보여준다고 WSJ은 말했다.

앞서 미 상무부는 2019년 5월 안보 우려를 들어 화웨이를 사실상 블랙리스트인 거래 제한 기업 명단에 올렸다. 화웨이는 미 시장에서 5G 망 구축 등 새 사업을 벌이기 어려워졌을 뿐 아니라 미 기업과의 거래가 원칙적으로 제한돼서 반도체 등 첨단 부품을 조달하지 못하게 됐다.

이에 따라 중국은 미국 기술을 추방하려는 '미국 삭제'(Delete America· 딜리트 A) 전략을 취했다. WSJ가 중국 정부 계약과 전현직 직원 인터뷰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구매 계약과 보조금 등을 통해 정부에서 화웨이로 수십억달러가 흘러 들어갔다.

중국 정부의 직접 지원도 확대됐다. 화웨이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 보조금이 10억달러 이상인데, 이는 2019년의 4배 이상이다. 화웨이는 5년간 중국 정부에서 약 30억달러를 받았고 이는 연구개발비의 3%에 달한다.

중국 정부는 또 정부 기관에 화웨이 제품 구매를 확대하도록 지시했다. WSJ에 따르면 지난해 화웨이 제품 구매를 명시한 정부 조달계약을 300건 이상으로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50억달러 규모다.

5년 전 중국 정부 기관이 인텔이나 AMD에 제품을 요청했던 상황과는 극명히 대조된다.

[로이터]

중국 국유 무선통신사는 에릭슨과 노키아 장비가 가격 경쟁력이 있는 경우에도 구매하지 않을 정도였다. 에릭슨과 노키아는 2019년 5G 출시 전 중국 시장 점유율이 15%에 달했지만, 리서치업체 델오로에 따르면 지금은 4∼5%에 그친다.

물론 화웨이도 힘든 시기가 있었다. 2021년엔 매출이 전년 대비 30% 감소했다. 핵심 사업인 통신장비 부문에서 고전했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이폰에 점유율을 뺏겼다. 하지만 정부 지원 덕에 연구개발(R&D)비 삭감이나 인재 유출을 피하는 등 치명적 상황을 피했다.

지난해 화웨이 연구개발 지출은 1억650억위안으로, 2018년 1020억위안에서 확대됐다.

화웨이 이익은 작년에 두 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매출의 3분의 2는 국내에서 발생한다. 제재 전인 2018년엔 해외 고객 매출 비중이 48%였다.

작년 8월엔 자체 개발 칩을 넣은 고급 스마트폰을 출시했고, 올해 2월엔 엔비디아가 최대 경쟁자로 지목했다. 델오로의 애널리스트 사메 부젤베네는 "미 정부의 화웨이 제재는 의도치 않게 회복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화웨이 제재를 지지하는 이들은 미국과 군사 동맹국에서 화웨이 장비를 줄이는 목표가 달성됐다고 말한다. 화웨이를 몰아내는 것이 목표가 아니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WSJ은 다만 화웨이의 반도체 제품이 엔비디아의 AI 반도체에 비해 한 단계 뒤처져있는 등 아직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WSJ은 화웨이 연구자가 "우리가 더 국유기업처럼 돼가지 않나요"라는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