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전문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를 견인했던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이 최근 석달새 반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환대출 인프라 오픈 효과가 떨어진 데다, 가계부채 관리 기조가 강화된 데 따른 결과다. 금융당국은 안심하긴 이르다고 보고 대출 현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인터넷전문은행 3사(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 주택담보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들 인터넷전문은행이 2분기 중 신규 취급한 주택담보대출은 4조875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8조293억원까지 치솟았던 1분기에 비해 39.3% 감소한 금액이다.
이 가운데 대환대출을 통한 주택담보대출 취급액은 1분기 4조1882억원에서 2분기 2조342억원으로 51.4% 급감했다. 이에 따라 전체 주택담보대출 중 대환대출 비중은 1분기 52.2%에서 2분기 41.7%로 10%포인트 가량 축소됐다. 여기에는 연초 인터넷전문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를 주도했던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 오픈 효과가 한풀 꺾인 영향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온라인으로 더 낮은 금리의 주택담보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대환대출 서비스 출시 초기에 몰렸던 대환 수요가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것이다.
앞서 올해 1월 초 온라인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가 주택담보대출로 확대 운영되기 시작하면서 인터넷전문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대환대출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었다. 1분기 인터넷전문은행 주택담보대출 신규·대환 취급액이 각각 전기 대비 77.1%, 189.9% 폭증했을 정도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에 발맞춰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속도 조절을 한 영향도 있다. 케이뱅크는 지난달에만 3차례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렸고, 카카오뱅크도 지난달 말 금리를 0.1%포인트 올리며 인상 행렬에 동참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계부채 관리 기조도 있고 1분기에 대환대출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했던 적도 있어 주택담보대출을 늘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여전하다고 보고 대출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1분기 대환대출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가 끝나면 증가세로 돌아설 수 있고, 부동산 거래 상황 등에 따라 증가세에 다시 불이 붙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1분기에 대환대출 서비스가 출시되고 과열됐다가 돌아오는 과정이고, 지금도 수치가 작지 않다. 지방은행들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 여전히 증가세에 있다고 본다”며 “인터넷전문은행과 주기적으로 보면서 현황을 점검하고 관리를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승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