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연합] |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미국 기준금리 인하 폭을 두고 시장 예측이 엇갈리고 있다. 매시각 마다 '빅컷(0.5%포인트 인하)'과 0.25%포인트 인하 전망이 엎치락뒤치락 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미국이 어떤 결론을 내더라도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하는 미국보다 약한 강도로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가계부채와 집값 문제는 물론이고 역대 최대로 벌어진 한미 금리 역전 현상도 언젠가 돌려놔야 하기 때문이다. 물리적으로 봐도 연내 금리 결정 회의가 2회밖에 남지 않았다.
16일(미국 동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50bp(1bp=0.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마감 무렵 67%로 반영했다. 반면 25bp 인하 확률은 33%까지 쪼그라들었다.
일부 연방준비위원회와 언론이 빅컷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금리 선물시장도 발맞춰 베팅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미국 금리 인하 폭에 대한 전망은 연일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5일까지만 해도 25bp와 50bp 인하 전망이 각각 59%, 41% 수준이었는데, 이후 12일까지 86%, 14%로 조정됐다가 13일 다시 57%, 43% 수준으로 바뀌었다.
연준은 17∼18일 9월 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결정을 하루 밖에 안 남을 때까지 시장 예측이 끝까지 방향을 틀고 있는 모양새다.
미국 금리 인하가 임박하면서 우리나라 금리도 내릴 가능성이 커졌다. 10월이 첫 인하 시점이 될 전망이다. 다만, 연말까지 그 폭은 미국과 비교해 더 얕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은 현재 우리나라 보다 기준금리가 2.0%포인트 더 높다. 미국 기준금리는 상단 기준으로 5.50%, 우리나라는 3.50%다.
통상 금리는 위험도에 비례한다. 예를 들면 시중은행보다 저축은행이 금리를 더 준다. 그런데 세계 최강대국이자 기축통화국인 미국보다 우리나라 금리가 높은 상태가 1년 7개월 넘게 이어졌다. 일반적인 상황이 아니다. 지금까진 다행히도 자금 유출이 그다지 일어나지 않았지만 앞으로도 계속 그런다고 장담하기 어렵다.
환율도 문제다. 현재 환율은 미국 금리 인하 기대를 타고 1300원 초반대로 안정세를 되찾은 상태다. 그런데 우리나라 금리 인하 속도가 가속하면 간신히 찾은 환율 하락 흐름을 놓칠 수 있다.
환율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면 수출기업엔 호재지만 국민에겐 부담으로 다가온다. 수입물가에 당장 상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여행·유학에 드는 자금도 비례해서 차곡차곡 늘어난다.
가계부채와 집값 문제도 여전하다. 한국은행은 지난 5월 이후 부동산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계대출이 늘고, 이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2분기 이후 다시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3분기(99.3%)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떨어져 올해 1분기 92.1%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금처럼 한 달에 5조∼6조원씩만 금융권 가계대출이 늘어도, 비율은 2분기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해 올해 4분기 92.4∼92.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