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핵융합에너지 상용화되나” 韓 연구진, 핵심난제 해결

- 서울대 나용수 교수팀, 핵융합 토카막 폭주 전자 원리 규명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운용중인 한국형 인공태양 ‘KSTAR’.[헤럴드DB]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핵융합 에너지 상용로 설계를 위해 해결해야 할 핵심 난제 중 하나인 ‘폭주 전자’의 발생 원리를 최초로 규명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연구팀이 핵융합로 토카막(tokamak)을 시동할 때 발생하는 폭주 전자의 형성 원리를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핵융합 발전은 지구에 인공태양 장치인 토카막을 만들고, 바닷물에서 얻은 원료를 이용하여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청정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토카막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먼저 고온의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야 하는데 이를 시동이라고 부른다.

토카막 시동을 위해서는 번개의 원리와 같이 강한 전기장이 필요한데, 이 전기장은 폭주 전자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폭주 전자란 강한 전기장으로부터 끊임없이 에너지를 받아 가속을 억제할 수 없는 고에너지 전자를 말한다. 폭주 전자는 플라즈마를 형성시키기 위해 외부에서 인가한 에너지를 빼앗아 플라즈마 형성을 방해하고 장치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다.

토카막 상용화를 위해서는 폭주 전자의 형성 원리를 규명하고, 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팀은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국제기구와 공동연구를 통해 폭주전자를 기술할 수 있는 동역학 이론을 일반화해서 폭주 전자의 새로운 발생 기작을 규명하며, 핵융합 상용로 시동 설계의 이론적 병목을 해결했다.

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서울대 제공]


토카막 시동 중 수소원자와 비탄성 상호작용을 겪지 않는 일부 전자들이 폭주 전자를 형성하는데 큰 기여함을 밝혔다.

또 이를 규명하기 위해 전자 동역학 이론을 일반화하고 고전 모델과의 상반된 예측 결과를 입증했다.

나용수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정확한 폭주 전자 형성률을 제공하여 향후 한국형 실증로와 상용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가 참여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시동 설계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10월 24일 게재됐다.

Print Friendly